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진기록화 작업으로 숲 활동을 교실에 연결하는 숲반의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이용수 8

영문명
The educational meaning behind the experience of a forest class connecting forest activities with classrooms through the work of photography documentation
발행기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저자명
서혜정(HyeJeong Suh)
간행물 정보
『생태유아교육연구』제12권 제4호, 151~18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 1회 숲에서 활동하는 만 4세 숲반 어린이집 교사와 유아에 대한 것이다. 숲반은 사진기록화 작업으로 시간과 공간적으로 분리된 숲과 교실을 연결하려는 교사의 실천을 통해 숲 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1차적으로 2012년 6월 11일부터 2012년 11월 27일까지 참여관찰, 교사의 수업일지를 수집하였다. 2차로는 2013년 7월 12일부터 7월 24일까지 심층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숲과 교실을 연결하기 위해 유아를 숲에서의 사진 기록화 작업에 참여하게 하고, 유아가 찍은 사진을 벽면에 게시하며, 사진을 활용한 숲 기자 활동이 이루어졌다. 숲과 교실을 연결하는 교사의 노력으로 사진 기록화는 유아들 간의 활발한 의사소통의 매개체로서 작용하였고, 사진을 벽면에 게시함으로써 사진은 기억의 끈이 되어 일주일간의 시간 공백을 연결해주었다. 시각화 기록자로서의 유아가 숲에서 찍은 사진은 문해 발달의 촉진제로서 작용하였으며, 유아는 교실과 숲을 연결하는 주체자가 되어 점차 탐구하는 성향으로 변화하는 교육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숲 유치원의 한국적인 토양에 맞는 다양한 숲 활동에 대한 다양한 실천의 연구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bserved a teacher and a four-year-old children s ‘Forest Class’ weekly forest activities. The forest class attempted to discover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experience through the teacher s practice of connecting forest activities with classrooms that are separated in terms of time and space, as photographic documentation showed. The data were primarily collected from June 11 to November 27 in 2012 via observation and recoding the information in class journals. Afte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from July 12-July 24, 2013. The teacher asked children to participate in a picture-recording project to connect the forest and the classroom, and posted the children s pictures on the wall, utilizing them by creating forest journalist activities. With help from the teacher, these picture records became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hildren, and the pictures on the wall connected the space in time during the week, becoming a memory cue. The pictures that the children took in the forest as visual records acted as stimulators to developing problem-solving skills. The children the subjects who connected their classroom and forest experiences and identified their educational meanings, found that they had changed into explorative characters.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various empirical studies on forest activities in forest kindergartens, as appropriate for Korean situ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혜정(HyeJeong Suh). (2013).사진기록화 작업으로 숲 활동을 교실에 연결하는 숲반의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생태유아교육연구, 12 (4), 151-180

MLA

서혜정(HyeJeong Suh). "사진기록화 작업으로 숲 활동을 교실에 연결하는 숲반의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생태유아교육연구, 12.4(2013): 151-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