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유아보육․교육에서의 공공성의 의미 탐색

이용수 30

영문명
Exploring the meaning of publicness in child care and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저자명
김희연(Heeyeon Kim)
간행물 정보
『생태유아교육연구』제12권 제4호, 215~24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보육․교육에서의 공공성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하여 유아교육계와 보육계의 공공성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특징을 분석하고 나아가 공공성에 관한 그간이 담론이 가지고 있었던 한계에 비추어 새로운 공공성 담론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의 공공성은 재정의 투명성 확보와 질 관리체제의 확립을 중심으로 무상 공교육화를 지향해 왔으며, 보육의 공공성은 민간주도로부터의 탈피와 보육의 전문성 향상을 중심으로 보육서비스의 질 제고를 지향해 왔음을 밝혔다. 이는 공적 자금의 투여와 관리체제 확립으로 수렴되는 공공성 담론이었고 영유아보육․교육을 사적 영역-공적 영역이라는 이분법적 구도 아래 외적 조건 구비에 집중해 온 것이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영유아보육․교육의 공공성에 대한 대안적 담론들은 국가-시장의 이분법을 탈피하고 보육․교육의 본질적 특성으로서의 공공성의 내적 가치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구성해 갈 것과 이를 실행해 나갈 기제의 작동과 창출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ublicness in child-care services and education. It showed that the publicness of early education has aimed for expense-free public education by promoting financial legitimacy and establishing a quality evalu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that the publicness of child care has attained high quality child-care services by holding back marketplace-leading and expanding child-care professionalism. It was suggested that the meaning of publicness in child-care services and education be beyond the private vs. public dichotomy. It was also suggested that minority/individual subjectivity and congregation entity be stressed, so that the intrinsic value of publicness may be noted, and a main cultural effect be created.

목차

Ⅰ. 시작하며
Ⅱ. 유아교육에서의 공공성: 무상 공교육화
Ⅲ. 보육에서의 공공성: 질 높은 보육서비스의 실현
Ⅳ. 영유아보육․교육의 공공성: 외적 구비 요건을 넘어 내재적 속성으로서의 공공성의 의미 탐색
Ⅴ. 마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연(Heeyeon Kim). (2013).영유아보육․교육에서의 공공성의 의미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2 (4), 215-243

MLA

김희연(Heeyeon Kim). "영유아보육․교육에서의 공공성의 의미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2.4(2013): 215-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