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전통 ‘호흡’에 관한 유아교육적 함의 탐색

이용수 37

영문명
A study on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breat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저자명
조순영(Jo, Soon-young)
간행물 정보
『생태유아교육연구』제16권 제3호, 219~23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전통 사상 중 ‘호흡’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접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전통 사회에서 호흡은 음양 및 정기신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육체적 건강과 심리적 안정, 정신적 고양을 가능하게 하는 기제로 사용되었다. 호흡의 방법은 가늘고 길고 깊은 조식(調息)을 이상적인 호흡으로 보았고, 조식을 하기 위한 몸동작으로 도인법이 활용되었다. 또한 전통 가무와 무예 등 한국인의 삶과 예술에서 호흡의 연마는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호흡에 관한 내용을 유아교육에 적용하면 첫째, 올바른 호흡을 익히는데 있어서 유아보다 교사가 더 시급하며, 교사교육과정에 호흡수련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둘째, 들숨과 날숨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듯 유아의 활동과 쉼이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유아들마다 각자 내면의 리듬(호흡)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유아건강관리 차원에서 호흡을 활용하면 유아의 면역력과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호흡을 통하여 유아도덕교육이 가능하며, 호흡을 명상이나 도인법(몸짓놀이) 등에 적용하여 교육프로그램화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orporate Korean traditional breathing into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heory and techniques of traditional breathing, such as breathing principles and methods, were organized and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find the implications. In traditional societies, breathing was closely related to both yin and yang and Jeong-gisin ideology, and it was used as a means to enable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piritual well-being. Thin, long, and deep breathing called JoSig was thought to be ideal. (Physical Activity) was used as the method for achieving Also, breathing is important in traditional dance and martial arts. As a result, breathing is essential in Korean life and art. That is why it is important to apply traditional breathing to moder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 teachers must first learn proper breathing, and breathing training needs to be included in the teacher s curriculum. Second, teachers must apply the breathing principles to the principles of education, so that the breathing and the activity of children can be harmonized. Each child must be taught to follow his/her inner rhythm (breathing). By applying breathing techniques to education methods,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First, breathing can be used in children’s healthcare. Breathing through their nose, not their mouth, can help boost their immune system and their health. Second, children’s moral education is possible through breathing. Further,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curriculum by applying breathing techniques in meditation or in physical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전통 호흡에 대한 이해
Ⅲ. 호흡, 유아교육에 적용하기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순영(Jo, Soon-young). (2017).한국 전통 ‘호흡’에 관한 유아교육적 함의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6 (3), 219-237

MLA

조순영(Jo, Soon-young). "한국 전통 ‘호흡’에 관한 유아교육적 함의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6.3(2017): 219-2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