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트 프로젝트 공간으로서 현대미술관 연구

이용수 211

영문명
The Contemporary Art Museum as Art Project Space: Focused on the Art Collaboration Fashion Show in MMCA, Korea
발행기관
한국박물관학회
저자명
김세희(Kim, Se-Hee)
간행물 정보
『박물관학보』제41호, 29~5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미술관은 예술적 가치를 지닌 다양한 활동을 공론화하는 열린 장(場)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아트 프로젝트 사업을 활성화시켜왔다. 이러한 프로젝트 중에는 여러 문화예술 분야 활동가들에게 협력 또는 협업(collaboration)의 기회를 제공하고, 미술관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하나의 이벤트로서 홍보마케팅 효과와 관람객 유입의 극대화를 이룬 사례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협력(art collaboration)을 주요 개념으로 강조시킨 프로젝트 결과물 중 하나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서울관)의 개관 이후 처음으로 추진된 문화행사 <서울관에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패션쇼>를 조명하였다. 해당 사례는 우리나라 유일의 현대미술관이 서울 중심에 새로운 분관을 설립하며 ‘갤러리 아트존’이라는 브랜드(뮤지엄 숍이자 프로젝트 기획전시 공간)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차세대 아티스트를 지원․발굴해나갈 프로젝트 사업을 개시하는 의미를 지녔다. 사례연구 방법으로는 행사 참여자 모집을 위한 공모 기획과 심사 및 선정 과정, 예술협력으로 만들어진 행사의 세부 내용과 그 이후의 홍보효과 전반을 실무참여 경험과 남겨진 기록물들을 토대로 정리하였다. 그 후 분석을 통해 해당 사례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던 예술협력 기획 및 추진과정의 요소 세 가지를 도출하였다. 그 내용은 1)공모기획에서 어떠한 기준이나 요건보다도 미술관을 자유로운 표현공간의 도구로 사용하는 열린 방향성만을 제시하였고, 따라서 협력 참여의 의지를 지닌 동시대 문화예술 분야 활동가들이 창의적인 기획안을 다채롭게 제안할 수 있었다. 2)미술관이 주체적으로 기업의 후원금을 운영할 권한을 지님으로써 효율적으로 행사 기획 및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고 관리할 수 있었다. 3)프로젝트 수행에 있어서 주최자 또는 후원자의 지나친 개입 없이 공모를 통해 선정된 참여자들의 의사결정권이 온전히 보장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술협력 개념을 정리함으로써 현대미술관이 아트 프로젝트 수행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해당 사례가 추진될 수 있었던 특수한 맥락과 배경을 명문화하고 일회성으로 끝나기 쉬운 프로젝트 형식의 문화행사 그 뒤에서 이루어지는 현장의 모습을 기록함으로써 미술관이 제공하는 주요 콘텐츠로서 문화행사를 조명하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contemporary art museum is a kind of museum that most often functions as a space for diverse art projects. This is because the museum dedicated to contemporary art, which specifically includes artworks of the currently living artists and creators, has the obligation to serve the public with activities that reflect the diverse artistic/creative values in the concurrent art world and cultural industry. For this study, the art collaboration project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Korea) is chosen as an exemplary case that had taken place in Korea, and making of the cultural event titled is analyzed in detail. The case analysis laid out the early planning stage of the project to the end result and the general public’s response to the event as a whole by explaining the context of how and why, through what process such art project was perused with the remaining documents, on/offline records, photos and personal memories of serving as a leading director of the project. In conclusion, the case analysis derived three key factors that had made the event successful. First, the open call/contest, which took place to openly recruit project participants, was organized in a way that diverse options for creative art collaboration were proposed to the event organizers. Second, the museum as a host had the full authority in managing the sponsored project, which had increased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of open call, the actual event and publicity activities while properly distribut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partakers. Third, the autonomy was fully guaranteed to the three finalist of the open call of the fashion show. This had made the project leaders of museum to focus on the administration, planning of the event and publicity activities, while the art collaborators could focus entirely on executing the show. This study dedicates to building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emporary art museum as a space for art project and illuminate the value of fluidity yet systemic quality of art collabo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예술협력의 개념 및 선행연구 분석
Ⅲ. 국립현대미술관의 예술협력 사업 추진 배경
Ⅳ. 예술협력 패션쇼 프로젝트 사례분석
Ⅴ. 결론 및 연구의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희(Kim, Se-Hee). (2021).아트 프로젝트 공간으로서 현대미술관 연구. 박물관학보, (41), 29-52

MLA

김세희(Kim, Se-Hee). "아트 프로젝트 공간으로서 현대미술관 연구." 박물관학보, .41(2021): 29-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