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산층 전업 어머니의 자녀교육 경험과 모성 재구성에 관한 탐색

이용수 233

영문명
Studies on the experidences of middle-class housewife mothers’ child education and reconstruction of motherhood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황정숙(Hwang, Jeongsook)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31권 제4호, 245~27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산층 전업 어머니의 자녀교육 실천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전업 어머니 모성이 자녀교육 역할에 집중되는 이유를 밝히고 나아가 자녀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전업 어머니의 모성이 어떻게 재구성되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수험생 자녀를 둔 중산층 전업 어머니 8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와의 관계성 측면에서 볼 때, 중산층 전업 어머니의 모성적 사고는 전통적 모성 특징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모성을 어머니 역할로 인식하는 측면, 특히‘자녀학습을 돕는 것’으로 규정하는 측면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현대 어머니들에게 자녀교육이 중요한 모성 역할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녀교육에 대한 역할을 가사나 자녀 돌봄의 역할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자녀교육은 모성 가치를 인정받는 일로 일종의 인정 자원이나 권력 자원으로 경험되었다. 셋째, 자녀교육 실천 과정에서 전업 어머니 모성은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나아갔다. 자녀교육이 모성권력 자원으로 기능할 때 참여자들은 제도적 모성에 순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자녀교육이 모성권력 자원으로 기능하지 못할 때 참여자들은 기존 모성 신념에 균열을 내며 모성을 새롭게 재구성해 나갔다. 본 연구를 통해 전업 어머니 모성이 자녀교육에 집중되는 이유가 가정 내 어머니 지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어머니가 자녀교육에 있어서 그 역할을 인정받을 때 자녀교육은 모성권력을 강화하는 자원으로 기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usewife mothers’ experience for their children s education so as to shed light on the role of their motherhood in shaping child eduction. Furthermore, this paper investigates how motherhood re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children’s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using in-depth interviews by selecting 8 middle-class housewife mothers with children who prepares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ternal thinking of middle-class housewife mothers was not different from traditional matern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However, the aspect of recognizing motherhood as a mother’s role that is ‘helping their children’s education’ is somewhat different, which implies that child education is recognized as an importance role of motherhood in the modern era. Second, participants in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s perceived child education as a more important role of motherhood than that of housework or childcare. For these participants, the child education was considered as types of authority resources that can be recognized as value of motherhood. Thir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child eduction, motherhood resulted in two different ways. On the one hand, mothers conformed to institutional motherhood when their children’s education can be functioned as a resource for maternal author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did not function as a resource for maternal authority, housewife mothers reconstructed their motherhood without following the existing beliefs of motherhood. his study confirmed that the reason motherhood of housewife mothers focuses on child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status of mothers in the famil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when mothers are recognized for their role in child education, child education can serve as a resource to strengthen maternal authority. This paper is worthwhile in that it reveals that the recognition of motherhood through child education is the recognition of the mother s role or ability as a social duty , not the recognition of her right as a moth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자녀교육을 통한 중산층 전업 어머니의 모성의 재구성 경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정숙(Hwang, Jeongsook). (2021).중산층 전업 어머니의 자녀교육 경험과 모성 재구성에 관한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31 (4), 245-275

MLA

황정숙(Hwang, Jeongsook). "중산층 전업 어머니의 자녀교육 경험과 모성 재구성에 관한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31.4(2021): 245-2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