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환시대의 학교: 학교의 존재의미에 대한 시론적 고찰

이용수 443

영문명
School in an Era of Transition : A preliminary approach to the meaning of school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유은지(Eunji Yoo)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31권 제4호, 71~1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에서 학교가 지닌 의미를 고찰하는 시론적 논의이다. 우선, 학교의 역사성을 살펴봄으로써 종적 흐름 속에서 학교의 의미가 어떻게 변했으며 사회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져 왔는지를 탐색하였다. 학교교육의 표준화 및 정상화가 이뤄진 시기는 르네상스와 종교개혁기에 일어난 교육상의 일련의 전환을 거치고 나서부터이다. 이후 국가의 관리와 통제를 받는 사회제도로 굳혀진 학교교육은 근대 국민국가의 형성에 크나큰 기여를 하였다. 이어서 횡적 차원의 접근으로서, 학교와 학교교육을 주요 주제로 삼는 여러 교육사회학 이론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기능주의 및 갈등주의 패러다임, 그리고 신교육사회학은 학교와 학교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떠한 점에서 학교와 학교교육을 기대하는지 혹은 비판하는지를 파악하였다. 그러나 사회가 급변함에 따라 기존의 교육사회학적 시각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학교의 모습이 포착되므로, 이러한 변화에 걸맞은 새로운 시각으로 학교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학교는 파놉티콘과 바놉티콘의 특징을 동시에 갖고 있을 뿐 아니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디지털 교육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의 시대적·사회적 배경에 꼭 필요한 학교, 더 나아가 학교의 본질적 의미에 충실한 학교를 소개해 보았다. 두 학교 모두 다양한 구성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공간을 차지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이러한 점은 학교가 전환시대에도 그 존재의미를 가짐을 역설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tentative discussion that examines the meaning of school in society. First, by examining the historicity of school, the ways in which the meaning of school has changed and the ways it has been accepted in society can be explored. It was not until a series of educational transitions during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that schooling came to be standardized and normalized. After that, schooling, which was established as a social system under the control of the state, great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modern nation-state. Then, as a horizontal approach, the major theories of sociology of education, dealing with school and schooling as main themes, are investigated. Specifically, the perception of school and schooling through the functional paradigm, the conflict paradigm, and the new sociology of education are identified. However, as society changes rapidly, there are some parts of school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existing theories of sociology of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school with a new perspective in accordance with this change. Today’s school not on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panopticon and banopticon, but it is also greatly affected by digital educa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s such, this study introduces school that is essential for the current times and social background; furthermore, school that is faithful to the intrinsic meaning of school. The commonality of both schools is that they are made up of various members and occupy space and time. This emphasizes that school has a meaning of existence even in the transition era.

목차

Ⅰ. 서론
Ⅱ. 학교의 역사성
Ⅲ. 다양한 교육사회학 이론에서 본 학교
Ⅳ. 새로운 시각으로 본 학교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은지(Eunji Yoo). (2021).전환시대의 학교: 학교의 존재의미에 대한 시론적 고찰. 교육사회학연구, 31 (4), 71-100

MLA

유은지(Eunji Yoo). "전환시대의 학교: 학교의 존재의미에 대한 시론적 고찰." 교육사회학연구, 31.4(2021): 71-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