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혁신교육 동향에 기초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요 특성 탐색 - 혁신교육 3.0을 중심으로 -

이용수 498

영문명
Exploring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trends - Focusing on the innovation education 3.0 -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임재일(Lim, Jae-ill) 복건수(Bok, Keon-soo)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31권 제4호, 141~17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혁신교육 3.0을 중심으로 한 혁신교육 동향에 기초하여 마을교육공동체가 어떠한 주요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혁신교육 정책은 어떠한 전개 양상과 특성을 가지며 진화하였는가?’ 둘째, ‘혁신교육 기반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특성은 무엇이며, 그 특성은 혁신교육 3.0의 맥락에서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시・도교육청에서는 혁신교육을 혁신학교-혁신교육지구-마을교육공동체로 연계・확장하고 있었고, 1.0, 2.0, 3.0 등과 같은 구분을 통해 진화된 변곡점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혁신교육 특성으로는 ‘운동성’, ‘지역성’, ‘확장성’, ‘공동체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마을교육공동체는 학생들의 온전한 성장을 위해 온 마을의 협력이 필요하고, 교육주체 간 연계와 참여를 통해 운영되는 교육거버넌스를 구동 모델로 개념을 정리하였다. 마을교육공동체의 특성으로는 ‘학생 중심’, ‘지역 교육력’, ‘단수가 아닌 복수주체’, ‘교육생태계’ 등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혁신교육 3.0에 기반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요 특성은 ‘학생 주도성’, ‘지역 행위주체성’, ‘생태전환교육’ 등을 논의하였고, 코로나19 및 기후위기 등 재난의 일상화를 대비하고 불확실한 미래교육을 조응할 수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특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trends focusing on the innovation education 3.0.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First, ‘In what development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novation education policies have evolved? Second, ‘What ar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and how can the characteristics be defined within the context of the innovation education 3.0?’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majo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ere linking and expanding the innovation education to the innovation school,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and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Moreover, the offices presented inflection points of evolution classifications such as 1.0, 2.0, and 3.0.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novation education, ‘movement’, ‘locality’, ‘expansiveness’, and ‘community’ were explored. In additio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requires cooperation from the entire village for the full growth of the students, and the concept of educational governance is summarized as a driving model, operated by participation and connection between educational subjects. As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tudent-centered , ‘local educational capacity’, ‘multiple subjects, not singular , and ‘education ecosystem were derived. In light of the research result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3.0 were ‘student agency’, ‘local agency , and ‘ecology transformation education , and discussed it to prepare for the accepting disaster in daily life such as Covid-19 pandemic and fit with uncertain futur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혁신교육 정책의 전개와 특성
Ⅳ. 혁신교육 기반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특성
Ⅴ. 혁신교육 3.0에 기반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요 특성
Ⅵ.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재일(Lim, Jae-ill),복건수(Bok, Keon-soo). (2021).혁신교육 동향에 기초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요 특성 탐색 - 혁신교육 3.0을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 31 (4), 141-173

MLA

임재일(Lim, Jae-ill),복건수(Bok, Keon-soo). "혁신교육 동향에 기초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요 특성 탐색 - 혁신교육 3.0을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 31.4(2021): 141-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