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방과후학교의 지역사회 파트너십

이용수 47

영문명
Partnerships of after-school programs in communities
발행기관
한국방과후학교학회
저자명
김민호(Kim, Min Ho)
간행물 정보
『방과후학교연구』제1권 제1호, 65~8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2.28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방과후학교는 가정과 학교 사이의 중개공간이다. 경제적 빈곤 증가에 따른 교육격차의 확대, 맞벌이 가정 및 이혼가정 증가에 따른 자녀 양육 기능 약화, 이민과 탈북자 확산에 따른 학교 부적응 학생 증가 등의 결과로서, 가정의 양육과 학교교육을 보완하기 위한 제3의 공간이 정부주도로 제도화되어 왔다. 그러나 방과후학교가 제대로 정착하려면 정부의 노력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파트너십이 요청된다. 미국의 경우 방과후학교 파트너십은 기능적 모형, 협력적 모형, 상호연계 모형 및 변혁적 모형 등으로 발전해 왔다. 기능적 모형 단계에 머물고 있는 우리나라 방과후학교가 보다 발전하려면, 학교와 지역사회 사이에서만이 아니라, 지역의 민간단체, 지자체, 교육청 상호간 존중, 다양성의 이해, 나아가 실천적 협력 등의 파트너십이 요구된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방과후학교의 발전은 물론 지역 주민의 민주주의 학습에도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After-school has been institutionalized as a intermediary space in order to complement caring and schooling, since the educational inequality increased, the function of caring in family was weakened. We need partnerships of after-school programs in communities as well as government s policies. Functional model, collaborative model, interconnected model and transformational model of partnerships have developed in U.S., while we can seldom see any other models except functional model in Korea. We should have partnerships of inter-respect, diversity, and cooperation among local agencies, local government and school districts as well as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And then, we will succeed in after-schools and civic learning of democracy.

목차

Ⅰ. 서론
Ⅱ. 중개공간으로서 방과후학교
Ⅲ. 중개공간으로서 방과후학교의 지역사회 파트너십
Ⅳ. 우리나라 방과후학교의 지역사회 파트너십 개선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호(Kim, Min Ho). (2014).방과후학교의 지역사회 파트너십. 방과후학교연구, 1 (1), 65-84

MLA

김민호(Kim, Min Ho). "방과후학교의 지역사회 파트너십." 방과후학교연구, 1.1(2014): 65-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