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의 인식

이용수 157

영문명
A Study on Perception of Instructor on After-School Specialized Programs in Kindergarten
발행기관
한국방과후학교학회
저자명
안혜진(Ahn, Hye Jin)
간행물 정보
『방과후학교연구』제3권 제1호, 45~7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8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담당강사의 인식과 그들이 생각하는 발전방안을 살펴봄으로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의 방과후 특성화 연수를 이수하고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강사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보인 경우 Scheffé 사후검증을 통해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집단을 알아보았다. 또한 강사들의 요구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면담 참여의사를 밝힌 강사 1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범주화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가수준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의 활용은 낮은 수준이었으며 활용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 ‘현장 적용을 위한 내용 미흡’이 가장 높게 나타나 국가수준의 유치원 특성화 프로그램이 적극 활용되기 위해 현장중심의 평가 및 개선이 필요함이 나타났다.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강사의 인식은 교육목적 달성의 적합성, 유아 발달 수준의 적절성, 유아 흥미의 적합성, 연령별 교육 가능성, 다양한 경험의 제공 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재․교구의 적절성, 수업계획 및 준비의 용이성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방과후 특성화 수업의 실제를 알아본 결과 수업목표와 내용, 운영방법은 우수하였으나 수업개선을 위한 점검, 관리체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실행도 낮은 수준이었다. 강사와의 면담을 통해 알아본 요구사항은 유아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 교사대 유아의 비율개선, 강사에 대한 인식개선, 강사 처우개선, 행정적인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instructor on the after-school specialized programs in Kindergarten, and explored an improvement plan and implic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125 instructors who have completed the training course of after-school specialization. Descriptive analysis and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In addition, a depth-interview was conducted to 16 instructors and it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their demands. In result, the instructors have perceived that the degree of using the specialized after-school program in Kindergarten is low. The reason was a lack of appropriate content. It indicates that the field-oriented evaluation and improvemen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specialized after-school program. The level of the instructors perception is high in educational goal adequacy, children s developmental level adequacy, age-specific education feasibility, and variety of provided experience. On the other hands, it is low in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adequacy, and easiness for planing and preparation of lesson. In the practices of specialized after-school program, lesson goal and content and teaching method were thought to be good. But monitoring for teaching improvement and management system was perceived to be insufficient. The depth interview showed that the instructors have demands such as developing programs appropriate to early childhood, improvement of instructors cognition, improvement of instructors treatment, administrational support, and so 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혜진(Ahn, Hye Jin). (2016).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의 인식. 방과후학교연구, 3 (1), 45-77

MLA

안혜진(Ahn, Hye Jin).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의 인식." 방과후학교연구, 3.1(2016): 45-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