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성찰과 위빠사나(Vipassnā)알아차림과의 연계성 탐색

이용수 38

영문명
The Reinterpretation of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the View of Vipassana’s Sati(mindfulness)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고진호(Ko, Jinho)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32권, 231~24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사의 ‘성찰’은 행위(실천)와 함께하는 인식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교사의 ‘성찰(reflection)’은 인식론적 측면에서 특별한 방식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먼저 ‘성찰’은 유사개념인 ‘반성’과 개념적으로 구분될 필요가 있다. 성찰은 행위가 실천되는 과정에서의 발생한다는 점에서 추론과 논리의 과정을 통해서 행위를 재인식하는 반성적 인식작용과는 다른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교사의 성찰은 행위가 실천되는 순간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점에서 성찰은 ‘행위—중—성찰(reflection-in-action)’로 표기할 수 있다. 성찰실천의 핵심은 행위의 현재성(nowness)에 있다. 행위의 현재성이란, 현재 실천되고 있는 행위를 대상으로 성찰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찰은 현재 실천되고 있는 행위와 행위의 기저에 있는 의도를 표면화하고, 이를 의식화(자각)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찰은 반성적 사고의 과정과는 다른 의미를 지닌다. 교사의 성찰은 행위를 의식화(자각)하려는 노력이라는 점에서 위빠사나(vipassanā)수행에 있어서의 ‘알아차림(sati; mindfulness)’과 비교가 가능하다. 성찰과 알아차림 간에는 마음(의도)—몸(행동)에 대한 관찰을 통해, 행위의 본질을 자각(의식화)하려는 공통적 특성을 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글에서는 교사의 ‘성찰적 실천’능력을 위빠사나의 ‘알아차림(마음챙김)’과 관련하여 논의함으로써, 교사의 성찰적 실천의 의미를 새롭게 재해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성찰에 내재된 의미를 보다 실천적인 관점에서 탐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천능력을 계발을 위한 시사점을 알아차림의 능력을 계발하는 불교적 수행(asceticism)의 관점에서 탐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계기를 통해서 현재와 같은 이론중심 교사교육에서 벗어나, 교사의 자각적 실천적 행위능력에 바탕을 둔 성찰적 실천능력의 교사교육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론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mis to reinterpret about the teacher’s reflection in the light of Vipassana’s sati(mindfulness). In spite of teacher’s reflection’s importance, the concept of teacher’s reflection has been mislead and so it has been misunderstood in the field of teacher’s education. If the teacher educators willing to approach to reflection in Vipassana, what the idea of reflection been in their mind have to be reversed. In general the concept of reflection has been understood in the light to reflective thinking which be written by Dewey’s research. But the reflection in the reflective practice is not similar to reflective thinking in generally speaking. In general terms, the process of reflective thinking includes the working of logics and reasoning in contrast of the process of teacher’s reflection. And so the teacher’s reflection might be discussed in the base of teacher’s present implementing by behaviors. Because of the present momentum of teacher’s behavior, it is no places of the implementing of logics and reasoning in teacher’s reflection The essential meaning of teacher’s reflection is based on the concept of reflection-in-action which suggested by Schőn. The reflection-in-action could be explained that the two functions of reflection and action perform simultaneously in the practice of teacher’s behavior. In the light of special terms of teacher’s reflection, teacher’s reflection could be discussed by Vipassana sati(mindfulness). The sati(mindfulness) is the power of successfully observing the state of mind and body. As well as reflection, the momentum of behavior is also important factor in Vipassana’s asceticism. In this view this, this study compares teacher’s reflection with sati and teacher’s reflection reinterpret in the view of Vipassana. In the way of this, the enhancing methods of the power of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are going to be pursued.

목차

Ⅰ. 서론
Ⅱ. 성찰적 실천과 알아차림의 특성
Ⅲ. 행위의 변전성과 성찰적 실천의 재해석
Ⅳ. 성찰적 실천능력 계발을 위한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진호(Ko, Jinho). (2010).교사의 성찰과 위빠사나(Vipassnā)알아차림과의 연계성 탐색. 종교교육학연구, 32 , 231-247

MLA

고진호(Ko, Jinho). "교사의 성찰과 위빠사나(Vipassnā)알아차림과의 연계성 탐색." 종교교육학연구, 32.(2010): 231-2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