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화의 관점에서 본 원불교 교육

이용수 10

영문명
Won-Buddhism’s Education from the View of Conversation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고시용(Ko, Shiyong)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33권, 23~4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대화의 관점에서 소태산의 생애와 사상을 정리하고 원불교 교육의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현대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먼저 대화에 대한 원불교의 교리적 근거를 살펴보고 소태산의 대화가 수록된 『대종경』을 연구범위로 정하고 대화유형과 대화구조를 분석하여 교육적 특성을 밝혔다. 소태산의 대화는 대부분 ‘시작화행-긍정응답’ 구조를 띠고 있다. 그것은 정보의 이해와 요구를 목적으로 하는 대화의 특성상,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고 간략하게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더 많이 선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대화이동의 측면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질문화행의 빈도수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아울러 질문에 대한 소태산의 제2 대화이동은 대답이 압도적으로 많고 되묻기-역제안의 화행 빈도가 뒤를 이었다. 이를 통해 소태산의 교육방식은 일방적이지 않고 쌍방향적으로 작용하며 유도질문과 지적을 통해 스스로 수정하고 학습하도록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대종경』의 대화구조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육적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태산은 자신의 구도와 깨달음의 체험을 바탕으로 대중을 향한 설법이나 훈계의 방식에만 의존하지 않고 일대일로 만나서 상대로 하여금 가르침과 깨침을 얻도록 하는 대화법을 즐겨 사용했다. 둘째, 소태산은 자신이 직접 대화주제를 상정하거나 문제를 제시하여 일방적으로 전달하지 않고 대화 상대자로 하여금 알고 싶은 문제와 해결하고 싶은 과제를 표현하도록 했다. 셋째, 소태산은 대화자와 눈높이를 맞추어서 정보의 수준을 단계적으로 제시하고 대화자가 직접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하도록 가르쳤다. 이를 종합해볼 때 소태산은 대화상대자를 일대일로 만나 그(들)로 하여금 정보를 얻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방안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화능력 향상을 위한 원불교의 교육방법으로 회화ㆍ문답ㆍ감정ㆍ해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① 자유롭고 활발한 의견 교환, ② 학습을 촉진하는 실제적 문제 중심, ③ 성찰활동을 강조하는 학습, ④ 촉진자로서 지도자”라는 특성이 드러나며 이는 문제중심학습(PBL)의 특성과 일맥상통한다. 따라서 소태산의 대화와 원불교의 훈련법에 근거한 PBL 방식을 체계적인 프로그램 및 구체적인 학습ㆍ지도방안으로 연구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s to contemporary educational techniques, deriving insights and methods from the teaching career and the thought of Sot’aesan,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The most significant innovation found in Sot’aesan’s teaching style is the role of conversation, and by investigating this role, we come to appreciate other valuable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t educational methods. My primary source for the study is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Taejonggyong), which contains Sot’aesan’s conversations, or Discourses. First, I examine the doctrinal foundations of Won-Buddhism, focusing especially on the role of conversation and clarifying education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patterns and structures of the conversations. Most of Sot’aesan’s recorded conversations appear in the various sections of the Discourses, beginning with the ‘Prefatory’ section, which opens with his first words upon attaining great enlightenment, and including especially his ‘Answers to Questions’. Throughout the Discourses, it can be seen that he preferred a teaching method that enabled him to clarify and explain his thoughts simply. Because of the nature of conversation, this mode best met this need. Through conversation, he could identify and focus on the precise needs of his disciples, in order to develop their understanding. In examining the structures of these Discourses, the most striking characteristic is the high frequency of ‘question-and-answer’ mode. In addition, the second important characteristic of Sot’aesan’s conversations is the overwhelming frequency of ‘re-questioning and further explanation’. In this way, I demonstrate that Sot’aesan’s educational style makes use of an interactive and mutual method, not a unilateral one. This method enables the learners to study and correct themselves through inducing questions and pointing out one’s mistakes and misunderstanding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conversations in the Taejonggyong, the characteristics of Sot’aesan’s educational syste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t’aesan enjoyed using the method of one-on-one conversation. Rather than giving lectures based on his path to enlightenment, he promoted and encouraged his disciples to be self-taught and independently awakened. Second, Sot’aesan did not choose the topics for dialogues. Instead of unilaterally deciding on a topic and relaying a preconceived message, he guided his disciples to express their innermost questions and curiosities so that they might conduct the task of finding the solutions. Finally, Sot’aesan personalized each interaction. He customized each encounter so that every interaction met the level of each disciple. This approach allowed individuals to identify and solve problems on their own. The overall data I have gathered concerning the points stated above demonstrate that Sot’aesan’s teaching method focused on one-on-one discussions, having the disciples discovering and identifying the issues on their own, and on customization so that each disciple discovered his or her own full potential. In further support of these findings, I also examine the educational approach of WonBuddhism as laid out in The Principal Book of Won-Buddhism. This includes the following methods for improving conversational skills: conversation, questioning and answering, appraisal, and awakening for understanding. Through this analysis, I discovered that Sot’aesan’s methods: ① talking freely and actively, ② focusing on the essential matter, proceeding to the study, ③ having a study that emphasizes the activities of introspection, and ④ having a mentor as a facilitator, were all similar to the techniques used in Problem-Based Learning(PBL). Based on this study and analysis, I believe that a new

목차

Ⅰ. 서언
Ⅱ. 원불교 사상에 있어서 대화
Ⅲ. 소태산의 대화법과 교육적 특성
Ⅳ. 대화의 관점에서 본 원불교 교육의 시사점
Ⅴ.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시용(Ko, Shiyong). (2010).대화의 관점에서 본 원불교 교육. 종교교육학연구, 33 , 23-45

MLA

고시용(Ko, Shiyong). "대화의 관점에서 본 원불교 교육." 종교교육학연구, 33.(2010): 23-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