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종립 대안학교와 대안교육

이용수 47

영문명
The Religious Alternative Schools and 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Focusing on Its Current Status and Tasks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김철주(Kim, Chuljoo) 고병철(Ko, Byungchul)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40권,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입시 위주 교육이라는 맥락에서 1990년대 초반의 대안교육운동은 새로운 시도였다. 그 후에 대안학교의 수와 종류도 점차 증가되었다. 이런 증가 현상은 일면 종교계의 적극적인 참여로 가능한 것이었다. 그렇지만 종교계의 참여와 함께 종립 대안학교 대안교육에는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대안학교ㆍ대안교육에 대한 종교계의 개입 현상을 출발점으로 삼아 종립 대안학교의 대안교육과 관련된 과제를 추출하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대안학교의 전개 과정, 종립 대안학교의 상황을 검토한 후, 그 내용에 입각하여 세 가지 과제를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민간의 대안교육운동, 정부의 교육특성화 정책, 종교계의 개입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종립 대안학교의 비율, 대안학교의 형태, 교사 채용과 학생 선발 조건, 교육과정의 운영, 학교 규율과 학부모의 역할 등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자율성 확보, 게토화 방지와 개방성 확보, 종교적 특성화와 공공성의 조율을 과제로 제시하였다. 끝으로 이 글에서는 종립 대안학교 대안교육의 종합적 차원의 과제 설정을 위해 종립 대안학교에 대한 학계 차원의 실태조사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대안학교와 제도권의 연계 문제를 정부와 대안교육기관의 공통 과제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제들은 현재와 미래의 다종교ㆍ다문화 상황, 그리고 대안적인 사회 구성을 위한 관심을 전제로 대안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설정된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in the early 1990s’ was a novel attempt in the context of college entrance exam 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in Korea. After that, the numbers and types of alternative education institutes increased steadily. This was possible, partly due to thrustful participation of religious community. Along with the participation of religious community, the alternative education for mission schools also incurred many different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 a point of departure for the intervention of religious community toward alternative school and alternative education, to find out problems related to religious alternative education. After review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ituations of alternative education, we set-up three assignments based upon this review. Concretely, in the 2nd. chapter, we reviewed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of private party, specialized education policies of government and intervention of religious community. We reviewed the ratio of religious alternative education institute, types of alternative schools, recruit condi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curriculum management, school rules and roles of school parents for the 3rd. chapter. For the 4th. chapter we proposed some tasks such as securing autonomy and patency, prevention of ghettoism, mediation between characterization of religious value and publicness. At last, to arrange comprehensive level of alternative education for missionary alternative education, we proposed fact-finding survey at the level of academic circles for the religious alternative education. Joint tasks was proposed for government and alternativ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problems of connecting between alternative schools and institutional schools.These tasks were set-up to find out directions of alternative education in the premise of interests for the multi-religious, multi-cultural situation and construction of alternative society.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대안학교의 전개: 교육특성화
Ⅲ. 종립 대안학교의 대안교육
Ⅳ. 대안교육의 과제
Ⅴ. 나오면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철주(Kim, Chuljoo),고병철(Ko, Byungchul). (2012).한국의 종립 대안학교와 대안교육. 종교교육학연구, 40 , 1-24

MLA

김철주(Kim, Chuljoo),고병철(Ko, Byungchul). "한국의 종립 대안학교와 대안교육." 종교교육학연구, 40.(2012):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