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명당 유정의 충의에 대한 사대부의 평가

이용수 26

영문명
Sadaebu’s Evaluation of Samyeongdang Yujeong’s Activity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이철헌(Lee, Cheolheon)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61권, 71~9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정은 승려의 신분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많은 전공을 세웠을 뿐만 아니라 전쟁이 끝난 뒤 일본에 들어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담화하고 끌려간 동포를 데려왔다. 조정의 대신들과 사대부들은 국난을 당해 충의를 다했다며 당상관직을 제수하고 선조 3대를 추증했다. 그리고 백성들은 유정을 도술을 부려 일본인을 굴복시킨 신승(神僧)으로 만들어 자신들의 한 맺힌 울분을 풀고자 했다. 하지만 유정은 국난을 당해 국왕과 중생의 은혜를 갚고 포악한 왜적들의 악행을 멈추겠다는 자비심으로 참전했다. 그리고 한시바삐 전쟁을 마치고 산속으로 돌아가 수행하기를 염원했다. 임진왜란이후 유정의 활약에 대해 일반 사대부들은 유가의 전통사상인 충의로 유정을 평가했다. 그러나 유정과 오랫동안 교류한 사대부들은 법력을 갖춘 자비로운 고승으로 이해하며 국난에 당해 산문을 나왔지만 다시 산으로 들어가 수행에 전념하기를 바랐다. 임진왜란과 두 차례의 호란을 겪은 뒤 지역의 유림들은 흐트러진 향촌사회의 질서를 복구하고 향촌지배세력으로 지위를 확고히 하려 했다. 유교이념으로 향약을 만들고 존경받는 사림의 인물과 국난에 순절한 충신들을 배향하는 서원과 사우를 세워 충의와 예를 강조했다. 18세기초 밀양 사림에서도 임진왜란당시 활약한 유정을 지역출신 충신으로 보아 사당을 세우길 건의해 표충사를 창건했다. 유정의 5대법손인 남붕(南鵬)은 표충사 건립을 계기로 대대적인 유정의 현창사업을 하면서 사대부들의 비문과 시문을 받았다. 이들 시문들은 유정의 보은과 자비를 말하기도 했지만 대다수가 조헌․고경명․김천일․곽재우 같은 의병장들과 더불어 충의를 다한 충신으로 평가하며 겉은 불자이나 속은 유자라 평가했다.

영문 초록

Not only participated in the war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s a monk and rendered distinguished services, but also went to Japan after the war and brought compatriots home after conversing with Tokugawa Ieyasu. Government ministers and Sadaebu conferred a government post to Yujeong and his ancestors in three generations for his loyalty during the national crisis. And the people tried to vent their spleen by making Yujeong a mighty monk who compelled Japanese performing Taoist magic. However, Yujeong entered the war from a merciful heart to return the favor of the king and the people and stop the misdeed of the atrocious Japanese invaders. And he desired to end the war as soon as possible and go back to the mountains to discipline himself. After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Sadaebu valued Yujeong and his activity during the war from the perspective of fidelity, a traditional idea of Confucianism, and praised Yujeong saying he was a Buddhist on the outside but a Confucian on the inside. While Sadaebu interacted with Yujeong for a long time understood him as a merciful monk with divine power who came out to the world in the national crisis but went back to the mountains and enjoyed the nature afterwards. After suffering the Japanese invasion and two Manchu invasions, Confusion scholars in the regions wanted to rebuild the disrupted order of local society and secure their position as a dominant force. They made Hyangyak from Confucian idea and emphasized loyalty and courtesy by constructing Seowon and Sawoo enshrining respected Confucian figures and faithful retainers sacrificed during the national disaster. In the early 18th century, Sarim in Miryang regared Yujeong, who played an active rol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s a loyalist from the local and proposed to build a shrine called Pyochoongsa. Nambung, Yujeong’s disciple in the fifth generation, took the construction of Pyochoongsa as an opportunity to receive a lot of Sadaebu’s epitaphs and literary works. These works stated Yujeong’s repayment of kindness and mercy but most of them evaluated Yujeong as a loyal subject, who performed fidelity, along with the commanders of patriotic soldiers: Joheon, Gogyeongmyeong, Kimcheonil, Gwakjaeil.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유교의 충의(忠義)와 불교의 보은(報恩) 자비(慈悲)
Ⅲ. 임진왜란부터 입적직후 평가
Ⅳ. 18세기 표충사 중흥에 따른 평가
Ⅴ.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철헌(Lee, Cheolheon). (2019).사명당 유정의 충의에 대한 사대부의 평가. 종교교육학연구, 61 , 71-91

MLA

이철헌(Lee, Cheolheon). "사명당 유정의 충의에 대한 사대부의 평가." 종교교육학연구, 61.(2019): 71-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