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추모공간 환경설계와 죽음 교육프로젝트 실행 탐색

이용수 149

영문명
The Study of the Environmental Design of Memorial Space and Implementing Project of Death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서지석(Seo, Jeeseok) 고진호(Ko, Jinho)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63권,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7.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묘지나 묘역으로 상징되는 추모공간의 공간적 기능을 이별과 애도, 추모와 기억, 반추와 성찰의 측면에서탐색하고, 죽음 교육 프로젝트의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추모공간을 특별한 장소적 의미를 지니며, 계기경험이 발생하는 공간으로 보고자 한다. 추모공간에 대한 환경적 설계를 시도하기 위해 추모공간 내에서 존재하는 환경을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차원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에 입각한 환경 준거와 설계 방법론에 따라 죽음 교육 프로젝트를 실행을 위한 환경으로 추모공간의 전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환경설계 방법론적 원리는 경험의 순환원리와 경험의 기회 원리 두 가지이다. 그리고 이러한 원리들에 기초해서 이 연구에서는 공감-체험중심, 인지-표현중심, 치유-이해중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교육적 프로젝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죽음 교육프로젝트들은 추모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경험의원리를 근거로 해서 구안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죽음의 공간으로 만 인식되어 왔던 추모공간에서 벗어나 새로운 공간적 기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추모공간을 교육적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지닌 환경으로 재구조화하는 것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explores various functions of the memorial space which has been regarded traditional in the symbol of death place in many peoples. And so, the functions of memorial space(memorial park another naming in Korea) in terms of parting and mourning, memorial and memory, rumination and reflection has been analysed and explained and aimed at the proposal of the related implementing project of death education. In this study, the memorial space was regarded as meaning place where trigger experiences occur only in special places or situations. For the environmental design of memorial spaces, the study divided the environment of memorial space in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mensions and presented environmental design methodologies accordingly.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transforming the memorial space into a suitable environment for implementing projects of death education. The environmental design methodological principles presented in this study based on two principles: the cycle principle of experience and the opportunity principle of experience. And these principles were intended to be reflected in three educational projects centered on experience oriented program, expression oriented program, understanding oriented program. The death education projects in this study were devised based on the principle of experience that happen to occurs in the memorial space. Through these discussions, the study seeks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beyond the meaning of memorial space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a place of deat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tructure of a memorial space which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new meaningful space for carrying out educational projects that learning experience which happen to occurs to grow up person in death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추모공간의 기능과 시·공간적 특성
Ⅲ. 추모공간의 환경과 준거 및 원리 탐색
Ⅳ. 추모공간의 환경설계와 죽음 교육프로젝트
Ⅴ. 제언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지석(Seo, Jeeseok),고진호(Ko, Jinho). (2020).추모공간 환경설계와 죽음 교육프로젝트 실행 탐색. 종교교육학연구, 63 , 1-18

MLA

서지석(Seo, Jeeseok),고진호(Ko, Jinho). "추모공간 환경설계와 죽음 교육프로젝트 실행 탐색." 종교교육학연구, 63.(2020):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