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기본법제정을 통해본 문화정책 변화 탐색

이용수 93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Cultural Policy s Alterations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Fundamental Act on Culture
발행기관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저자명
진혜영(Jin Hye Yeong) 고재욱(Ko Jae Ug)
간행물 정보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19권 제2호, 97~11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화기본법」은 12월 10일 국회에서 통과하여 2014년 3월 31일부터 시행되었다. 이 법은 총 13개 조로 구성되었으며, 국민의 문화권을 기본법으로 제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국민의 권리라고 하는 문화권에 대하여, 2014년 「문화기본법」이 제정되기까지의 문화정책 변화에 대하여, 정권별로 살펴봤다. 문화 정책은 공공기관에 의해 수행되는 문화에 관한 사업의 계획과 집행을 의미하며, 문화발전을 통한 국민의 문화수준 향상에 중점을 두고 지방자치 단체의 상위정책으로서 또 다른 정책으로 평가할 수 있는 메타 평가기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문화기본법」은 문화국가 기반조성의 제도적 차원에서 출발한 법인만큼 문화산업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국내외 문화콘텐츠를 집중 육성하고, 지역문화를 고려한 영역별, 장르별 문화콘텐츠를 운영할 수 있는 문화지도자와 문화자원봉사자들의 공동창작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요청된다. 한국의 문화는 많은 제도적 발전을 이루었지만, 정책은 현재 K-Pop같이 세계적으로 뻗어가고 있는 시점에서도 엘리트적 문화정책을 이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엘리트주의인 부유층과 일반 서민층의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되는 정서적인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제도적인 지원이 요청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부는 모든 국민 개개인의 문화권 획득을 위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센터를 전국적으로 확대함으로써 문화소외계층의 참여도를 높이고 지속가능한 기획프로그램을 제도화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fundamental Act on Culture was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in December 10th 2013, and the new law became effective from March 31st 2014. This law which composed of thirteen articles, has great significant to enact cultural rights for the public as the Fundamental Act. Regarding the cultural rights as the rights for the people, the changes of the cultural policies were examined by each regime while establishing of the Fundamental Act on Culture. The cultural policy represents that the planning and execution on cultural administration has performed by the government organization, which places emphasis to raise the cultural standard for the public through the cultural development. In this point of view, it would be able to evaluate in accordance with another policy as the higher authority of the local government under the meta-evaluation standards. With the Fundamental Act on Culture, it starts to build up the foundation for the cultural nation in the institutional coherence. At home and abroad the cultural contents, a fast-growing industry should be intensively supported and the cultural opinion leader and the volunteer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cultures by genre should be positively promoted by the governments. The Korean culture shows remarkable progress and cultural policy spreads around the world such as K-Pop with elitism.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elitist and the common people, the supporting policies for those who are isolated with culture should be maintained through the sustainable planned programs.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to open the cultural center with daily-life oriented programs on a nation-wide scale for everyone s cultural righ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문화정책의 현황
Ⅳ. 문화기본법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혜영(Jin Hye Yeong),고재욱(Ko Jae Ug). (2016).문화기본법제정을 통해본 문화정책 변화 탐색.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9 (2), 97-117

MLA

진혜영(Jin Hye Yeong),고재욱(Ko Jae Ug). "문화기본법제정을 통해본 문화정책 변화 탐색."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9.2(2016): 97-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