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학습 양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1163

영문명
The Qualitative Meta Analysis on the Patterns of Teacher Learning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장연우(Chang Yeon-Woo) 소경희(So, Kyunghee) 박지애(Jiae Park)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8권 제2호, 53~8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교사학습공동체 사례를 다룬 연구물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국내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교사학습이 어떤 양상으로 펼쳐지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물에 소개된 교사학습공동체 사례들에서의 교사학습을 그 방법과 깊이, 결과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학습의 방법으로는 ‘공유하기’, ‘반성하기’, ‘피드백 주고받기’, ‘공부하기’가 많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일부 학습공동체의 경우는 ‘실험하기’도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각 학습방법이 구체적으로 활용되는 방식은 학습공동체의 학습초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교사학습의 깊이 측면에서는, 가르치는 방법과 관련한 기저의 가정과 원리에 대해 질문하고 논의하는 ‘높은’ 수준의 대화보다는, 수업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낮은’ 수준의 대화와, 왜 그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는 ‘중간’ 수준의 대화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습공동체에서는 이 양자를 넘나드는 수준, 즉 ‘낮은 ↔ 중간’ 수준 정도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낮은’ 수준의 대화만이 이루어진다거나, 이와 달리 ‘높은’ 수준으로까지 심화된 대화가 이루어지는 학습공동체도 일부 있었다. 교사학습의 결과 측면에서는 국내의 교사학습공동체들이 주로 교과교수학적 지식의 함양(인지적 측면)과 자신감 및 교수효능감 증진(정의적·사회적 측면)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가 결론에서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how teacher learning is unfolding in the domestic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he research that deals with cases of the domestic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analyzed teacher learning in the cas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introduced in prior research in terms of its method, depth, an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haring’, ‘reflecting’, ‘giving and receiving feedback’ and ‘studying’ were used a lot as methods of teacher learning, while some learning communities were also using ‘experimenting’. In addition, the specific way in which each learning method was utilized differed depending on the learning focus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terms of the depth of teacher learning, rather than ‘high’ conversations about basic assumptions and principles related to teaching methods, ‘low’ conversations about ideas about teaching methods and ‘middle’ conversations about why they want to use them were mainly shown. In most learning communities, learning was taking place at a level that crossed this level, or ‘low ↔ middle’ level, but there were some learning communities where only ‘low’ levels of conversation were made, or on the other hand, intensified conversation to ‘high’ levels. In terms of teacher learning, the domestic teacher learning community mainly contributes to the cultiv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gnitive aspect) and the promotion of confidence and teaching efficacy (emotional and social aspect). A discussion of these findings was presented in the conclus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국내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학습 양상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연우(Chang Yeon-Woo),소경희(So, Kyunghee),박지애(Jiae Park). (2021).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학습 양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8 (2), 53-82

MLA

장연우(Chang Yeon-Woo),소경희(So, Kyunghee),박지애(Jiae Park).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학습 양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8.2(2021): 53-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