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교육 교사전문성 계발활동 참여 경험의 의미 탐색

이용수 376

영문명
Exploring Teachers’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구하라(KU HARA) 주미경(Mi-Kyung Ju)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8권 제2호, 269~29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전문성 계발활동이 다문화적 교사전문성 신장에 기여하는 바를 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 교수실천 경험이 풍부한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1차 심층면담과 2차 서면면담을 진행하여 이들의 경험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선행 연구들과 1차 심층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전문성 계발활동을 직무연수 등 공식적 지식전달 유형과 교사연구회, 비공식적 대화 등 비공식적 지식교류 유형으로 구분하여 수집된 면담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참여자 교사들은 공식적 지식전달 유형의 교사전문성 계발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알 수 있었고,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 이해’, ‘다문화교육 수업방법 이해’를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참여자 교사들은 비공식적 지식교류 유형의 교사전문성 계발활동에 참여하여 ‘다문화교육을 현장에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며 실천할 수 있었고, ‘현장적합한 다문화교육 역량 함양’, ‘다문화교육 경험적 지식의 공유와 생산’, ‘다문화교육 실행의지 강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연구참여자 교사들은 다문화적 교사전문성 신장에 대한 공식적 지식전달 유형과 비공식적 지식교류 유형의 효과에 있어, 특정 유형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에 대한 일관된 경험을 지니고 있지 않았지만, 다문화교육에 관한 전문성이 발달해가는 과정에 따라 두 유형에서 순차적으로 도움을 받았거나 또는 상호보완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전문성 함양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s. For the purpose, in this study, we distinguishe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n two different types, that is, ‘formal delivery of knowledge’ and ‘informal exchange of knowledge’ to analyze how these two types of activitie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s.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 we conducted a thematic analysis of the interview responses of 12 teachers who practiced multicultural education successfully in their school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formal delivery of knowledge’ type activities gave teachers opportunities to develop a broa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construct theoretical knowledg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change perceptions or attitud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to learn about successful ca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obtain access to materials for multicultural instruction. On the other hand, ‘informal exchange of knowledge’ type acitivities provided the teachers opportunities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 school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classroom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develop practical competencies necessary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multicultural instruction in school; and to strengthen the motivation to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esent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mak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of South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하라(KU HARA),주미경(Mi-Kyung Ju). (2021).다문화교육 교사전문성 계발활동 참여 경험의 의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8 (2), 269-297

MLA

구하라(KU HARA),주미경(Mi-Kyung Ju). "다문화교육 교사전문성 계발활동 참여 경험의 의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8.2(2021): 269-2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