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방준(安邦俊)의 한시 〈오륜가(五倫歌)〉에 구현된 오륜 형상과 그 의미

이용수 17

영문명
A Study on the Figure of Oryun(五倫) in Oryunga(五倫歌) writtenby An Bang-jun(安邦俊) and its Meaning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송재연(Song, Jae-Yeon)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9호, 5~3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의 역사적 격변기를 살았던 호남사림 안방준의 도학자적 삶과 학문적 지향을 살피고, 이를 한시 <오륜가> 창작과 연관지어 작품에 구현된 오륜 형상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된 것이다. 아울러 시조 ‘오륜가’와의 비교를 통해 오륜시가사에 있어서 한시 <오륜가>가 가지는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안방준은 고향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마하고 심성을 수양하는 데 진력했던 도학자로, 학문을 하는 데 있어서 독서와 강학을 통해 체득한 깨달음을 몸소 실천하는 ‘독행(篤行)’을 중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실천 윤리 중심의 도학관을 견지하고 있던 안방준은 세도가 무너지고 인심이 더렵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행’의 한 방편으로 한시 <오륜가>를 창작하게 된다. 그는 은봉정사에서 지내며 학문 활동에 전념하고 있던 만년기에 평소에 흠모했던 김구의 『천자문』 필적 중 160자를 본떠 총 8수로 구성된 오언절구 형식의 <오륜가>를 창작했는데, 이는 자기 자신을 비롯한 후학들에게 학문적 지표인 ‘독행’을 구현하기 위해 실천 윤리인 ‘오륜’을 한시 양식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실천을 독려했던 것이다. 한시 <오륜가>에 구현된 오륜의 항목은 부자, 군신, 장유(사제), 부부, 장유(형제), 붕우 간의 윤리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장유유서 항목의 경우 사제간의 윤리와 형제간의 윤리로 나누어 구성하고 있는데, 이는 장유유서를 ‘스승과 제자’, ‘형과 아우’라는 지식과 혈연 공동체의 측면에서 함양해야 할 중요한 윤리 규범으로 인식한 결과로 향촌의 사족 집단이나 자신의 가문 내에서 유대 강화나 집단 결속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한시 <오륜가>는 오륜 항목 구성에 있어서 재지사족의 시조 ‘오륜가’와 동궤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형상화 방식에 있어서 한시 <오륜가>는 재하자(在下者)의 도리에 초점을 맞춰 당위적 명제를 제시하고, 이어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행실을 했던 인물의 전고를 사례로 들어 교훈의 당위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조 ‘오륜가’와는 차이를 보였다. 이는 산문으로 상세하게 서술된, 성리학 경전을 대신하여 ‘한시’로 오륜 각 항목별 요체를 압축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실천 윤리로서의 당위성을 더욱 강화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학식과 소양을 갖춘 교화대상에게 익숙했던 경전의 구성방식을 그대로 유지한 채, 오륜의 이념을 단형의 한시 형식으로 압축 제시하여 교훈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life and study of An Bang-jun(安邦俊) who lived during the period of historic upheaval in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ies as Honamsalim(湖南士林), and to examine the figure of Oryun(五倫) and its meanings embodied in Oryunga(五倫歌), by relating this to the creation of Chinese poem. Furthermore, this study will reveal the significance of his Oryunga(五倫歌) in terms of the history of Oryunsiga(五倫詩歌). An Bang-jun(安邦俊) was a moralist who worked hard to stay home, improve his studies and train his mind, rather than go into government service. In particular, he emphasized Dokhaeng(篤行) which practice his realization through reading and lecturing in his study. Thus, he who was maintaining the moral center of pratice, created Oryunga(五倫歌) to solve the problem about the losing of the principle of the world and the human nature being soiled. This encouraged him and his students to practice in order to teach later students academic indicators by shaping the ethics of practice, Oryun(五倫), in Chinese poem. Oryunga(五倫歌) consisted of Oryun(五倫) one after another. Especially in the case of Elders first, it was divided into the ethics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nd ethics between older brother and younger brother. This was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ethics of Elders first as an important ethical norm that should be nurtured in terms of knowledge and blood-related communities,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strengthen ties or unite groups within local scholar groups or their own families. Therefore, Chinese poem Oryunga(五倫歌) has a similar aspect to Sijo(時調) in its composition. In addition, unlike the formative style embodied in the Sijo(時調), the chinese poem presented a justifiable proposition with a focus on the principle that the subordinate should have in human relations, and was enhancing the effect of delivering lessons by citing the biography of the person who performed positive or negative acts. This was similar to the writing style of a book like Dongmongseonseup(童蒙先習), chinese poem Oryunga(五倫歌)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strengthened its legitimacy as a practical ethics by presenting the key elements of each item of Oryun(五倫) in a compressed manner, replacing the scriptures described in prose.

목차

Ⅰ. 서론
Ⅱ. 한시 <오륜가> 창작배경으로서 독행(篤行)
Ⅲ. 한시 <오륜가>에 구현된 오륜 형상과 의미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재연(Song, Jae-Yeon). (2019).안방준(安邦俊)의 한시 〈오륜가(五倫歌)〉에 구현된 오륜 형상과 그 의미. 국문학연구, (39), 5-33

MLA

송재연(Song, Jae-Yeon). "안방준(安邦俊)의 한시 〈오륜가(五倫歌)〉에 구현된 오륜 형상과 그 의미." 국문학연구, .39(2019): 5-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