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 성소수자의 드러내기와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용수 350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ing Ou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a Female Sexual Minority: The Moderating Effect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발행기관
한국심리치료학회
저자명
장미래(Mirae Jang) 송현주(Hyunjoo Song)
간행물 정보
『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3권 제1호, 25~4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 성소수자의 드러내기, 무조건적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 그리고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드러내기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여성 성소수자를 대상으로 드러내기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우울 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앞서 연구 참여자들에게 설문에 관한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동의하에 설문을 시행하였다. 총 215명의 설문지 중 자신을 성소수자로 인지하지 않는 경우, 설문을 끝까지 완료하지 않은 경우, 생물학적 남성이거나 간성인 경우를 제외하고 총 151명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20.0을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드러내기는 심리사회적 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드러내기와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변인이 동시에 증가하고 우울 변인은 감소하였다. 둘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드러내기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드러내기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가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에서 드러내기와 심리사회적 적응 변인이 동시에 증가하였다. 특히, 사회적 지지는 성소수자 친구에게 드러내기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의 성소수자 상담에서 활용하고 성소수자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자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ing out of female sexual minorit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ocial suppor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and it was verified by setti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as the moderating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ing out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o do this, we conducted to sexual minority over 18 years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the coming out scal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the social support scale. Participants were fully briefed on the questionnair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after obtaining consent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215 questionnaires, 151 were used as the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except for those who did not recognize themselves as sexual minorities, did not complete the questionnaire, or were male or female. Analysis was conducted by utilizing SPSS 20.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ming ou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other words, satisfaction with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creases as much to coming out and depression have been shown to decrease. Seco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did not control the effects of exposure on psychosocial adjustment. Third, social support has been shown to control the effects of coming out on psychosocial adjustment. In other words, the group with higher social support than the group with lower social support showed more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 with more coming out. In particular, coming-out to friends of sexual minorities is mor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im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gender minority and to utilize it in domestic gender minor counseling.

목차

서 론
이론적 배경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미래(Mirae Jang),송현주(Hyunjoo Song). (2021).여성 성소수자의 드러내기와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3 (1), 25-49

MLA

장미래(Mirae Jang),송현주(Hyunjoo Song). "여성 성소수자의 드러내기와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3.1(2021): 25-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