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문수와 백정> 유형 설화를 통해 본 인정 욕망의 이해

이용수 80

영문명
A study on the desire for recognition in the story of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홍나래(Hong, Na Rae)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59집, 251~27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박문수와 백정> 설화는 인간답게 살고자 박문수의 친척을 사칭하며 양반행세를 한 백정과 그를 도와 당당한 양반으로 살게 한 박문수, 변화를 거부하다 백정에게 굴복당한 박문수의 동생이 등장하는데, 본고는 공통된 화소와 서사구조를 살펴 문헌과 구비설화에서 유사한 이본군을 함께 모아 격동의 시대, 하위계층의 인정 욕망에 대한 환대의 문제로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전승과 변이 과정을 살펴보면, ‘양반형’이 문헌과 구비로 전승되다가 설화에서 박문수 인물상이 부상되는 시기에 구비전승층에서 일부가 ‘박문수형’으로 변이되며 인기를 누렸고, 더하여 인정 문제에 관련된 삽화가 박문수 설화에 통합되면서 ‘기도형’과 같은 하위유형을 분화시켰다. 곧 <박문수와 백정> 유형 설화는 인정받고자 하는 존재와 인정해주는 존재 간 발생하는 다양한 도덕적 상황에 대한 공동체의 문제제기와 해법을 담으며 전승되어 왔다. 신분사회에서 무시당하던 노비ㆍ백정이 인간다운 삶을 살고자 인정받으려는 행동은 당대 사회의 주요 가치에 대한 투쟁이기도 한데, 각편에 따라 하층의 인정 욕망에 상층이 조건 없이 화답하며 상호 인정하게 되는 선구적인 시각도 나타나지만, 때로 인정받고자 하는 인물과 인정하는 인물의 우열 관계가 경제력ㆍ능력ㆍ인품 등 다양하게 대비되면서, 돈이 모든 가치를 잠식해가는 위기 상황이나 인간답게 살겠다는 욕망 모델의 시대적 한계를 보이기도 했다. 이와 같이 인정 욕망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제기를 생각해 볼 때, 설화에서는 인정과 환대의 지평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면서, 그 실천에서 문제될 불안 요소들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하고 반성적으로 사회를 구성해 갈 도덕적인 존재로서 박문수가 요청되었다. 설화세계에서 누구보다 입체적이고 힘 있는 인물이 된 박문수를 통해서라면, 인정에 대한 사회적 의의를 환기시키고 인정 방식에 내재된 욕망 모델의 한계 또한 박문수라는 도덕적이고 진보적인 지도자의 가능성으로 언젠가 분명하게 비춰낼 수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In the type of folktale, a lowly man pretends to be an aristocrat to live a human life, an aristocratic official helps such a lowly person, and an aristocrat who surrendered after refusing to change the spirit of the times appears. The story contain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of the lower clas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social relationships have collapsed. This thesis examines the possibility of hospitality as the desire for recognition by the lower class in a turbulent era, and targets this type of story in literature and oral traditions. This story was discuss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ster and the slave, but at the time that the character Park Moon-soo appeared, part of the story was transformed into a “Park Moon-soo story” and became popular. In addition, as the story of Park Moon-soo was widely expanded, illustrations such as “a woman praying for a nobleman” were added to the issue of recognition. Soon, in the type of story, various moral problems arise between the person who wants to be recognized and the person who acknowledges that, and the story brings together the concerns and solutions of the community. People who were ignored in the lower social class wanted a life of recognition, but their actions to be recognized were also a struggle against the values of society at the time. Among the stories, there are works in which vested interests respond unconditionally to the lower class’ desire for recognition, and eventually mutual recognition. However, a moral issue arises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 who wants to be recognized and the person who recognizes them shows various contrasts such as economic power, ability, and personality. It is a crisis situation in which money becomes superior to all other values, or a situation in which the desire for recognition models the old-fashioned vices. The story calls for a solution by summoning a character named Moon-Soo Park, as various problem situations surrounding the desire for recognition arise. He is a person who can see the pain of those excluded from society without being influenced by personal profits or the other s economic power. In the world of folklore, the character of Park Moon-soo contains the hopes of so many people that he becomes a free, moral, and ever-changing person, moreso than anyone else.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Park Moon-soo would evoke the social significance of recognition, and that the limits of the desire for recognition would be solved morally and progressively. As such, the narrative topic of the story of continues in our society today as a matter of ‘cordial reception’ from various subjects who struggle for recognition.

목차

1. 서론
2. <박문수와 백정> 유형 설화의 존재 양상
3. 인정 욕망에 내재된 도덕적 문제제기
3.1 호의와 도전, 상호 인정의 관계
3.2 주체 간 불균형한 위상과 도덕적 문제 제기
4. 인정 욕망의 확장 속 박문수 인물형의 의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나래(Hong, Na Rae). (2020).<박문수와 백정> 유형 설화를 통해 본 인정 욕망의 이해. 구비문학연구, 59 , 251-279

MLA

홍나래(Hong, Na Rae). "<박문수와 백정> 유형 설화를 통해 본 인정 욕망의 이해." 구비문학연구, 59.(2020): 251-2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