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교육의 고용프리미엄과 임금격차

이용수 36

영문명
Employment Advantage and Wage Dispersion: Vocational High School and College Graduate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최수정(Choi Su Jung)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0권 제1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중등 및 고등 직업교육기관 졸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성과를 단기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직업교육 트랙에의 선택 편의 문제를 보정하였을 때 분석 결과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의 한국 자료를 활용하여 OLS 및 PSM(성향점수매칭)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직업계고 졸업자는 단기적으로는 고용프리미엄을 갖고 있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고용프리미엄이 감소하여 60대에는 일반고 졸업자와 고용될 확률이 동일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문대학 졸업자의 고용프리미엄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의 경우 직업계고 졸업자 대비 일반고 졸업자의 임금우위가 확인되었고, 이러한 임금 우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택편의 문제를 보정한 결과 일반고 졸업자의 임금우위는 사라졌다. 반면 전문대학 졸업자와 대학 졸업자간의 임금 격차는 단기와 장기 모두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의 경우도 직업계고 졸업자가 일반고 졸업자에 비해 임금의 우위를 갖고 있었으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그 격차가 점차 줄어들어서 40대 중반에 이르러서는 두 집단 간에 임금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문대학 졸업자의 경우 남성과 유사하게 단기 및 장기 모두 대학 졸업자에 비해 낮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첫째, 직업교육트랙의 전 생애에 걸친 경력경로를 견고하게 설계하려는 정책적인 노력이 추가되어야 하며, 둘째, 직업교육의 초기 노동시장 성과가 장기 노동시장과 서로 trade-off 관계인 원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셋째, 고등단계 직업교육의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넷째,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자동화 위험에 따라 직업교육의 교육 목표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다섯째, 직업교육의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논의를 학술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더욱 풍부한 종단데이터가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turn to VET at upper-secondary and tertiary level over the life span, and to examine effect of selectivity bias on return of VET. This study used the PIAAC Korea dataset undertaken by OECD, and the analysis is restricted to individuals who completed a 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the testing hypothesis, OLS and Propensity Scores Matching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has short-term employment premium compared to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but it diminishes with age. On the other hand, for the employment advantage of college graduate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university graduates. For the male individuals, there is a significant wage dispersions: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earn initially more than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and less than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After controlling selectivity bias, earning advantages to the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has disappeared, and the wage gap with college graduates has decreased. For the female individuals, wage dispersion pattern is similar to male, but also examined age-earning patterns: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earn initially less and later more than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hese results implies that for labor market outcomes of vocational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examine earing trajectories across the working life. Also, to get the implications for policy, a substantial body of research remains to be performed in terms of the cause of trade-of relationship between long-term and short-term labor market outcomes. Especially we should focused on occupation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blue-colla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수정(Choi Su Jung). (2018).직업교육의 고용프리미엄과 임금격차.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 (1), 1-23

MLA

최수정(Choi Su Jung). "직업교육의 고용프리미엄과 임금격차."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1(2018):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