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문화 적응과 전환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이용수 25

영문명
A Case Study on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Transformative Learning of Expatriates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김광오(Kim, Kwang Oh) 이희수(Lee, Hee Su) 송영선(Song, Young Sun)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0권 제1호, 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Mezirow의 10단계 전환학습 과정에 기초하여 주재원이 이문화 환경에서 딜레마에 직면하는 과정과 극복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로 첫째, 주재원이 경험한 이문화 적응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주재원은 이문화 적응에서 어떠한 전환의 과정을 경험하는가. 셋째, 주재원이 이문화를 극복한 촉진요인은 무엇인가이다. 연구대상은 K자동차사 미국공장에서 주재원으로 3년 이상 근무하고 귀임한 5명으로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을 통해 생성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참여자들의 이문화 적응과정은 이문화 마찰→위기→변화→적응 순으로 시계열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들의 이문화 적응과정은 혼란스러운 딜레마 경험→문제인식과 자기반성→도움요청과 인식변화→관점전환과 새로운 시도→변화된 모습 인식의 순으로 Mezirow의 10단계과정을 압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문화에 적극적으로 적응하게 한 촉진 요인은 조직의 기대, 책임감과 사명감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through which expatriates face and overcome dilemmas in a cross-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Mezirow’s ten-stage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 model.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cross-cultural adaptation process do expatriates experience? Second, what transformative process do they experience in cross-cultural adaptation? Third, what factors assist them in overcoming cross-cultural situations? This qualitative case study consisted of five Koreans who had worked as expatriates at U.S. plants of K Automobile Company for three years or more and then returned to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ccording to three theme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a time-series cross-cultural adaptation process that involved: ① cross-cultural friction, followed by ② crisis, ③ changes, and ④ adaptation. Second, the participants passed through Mezirow s (1991) transformative learning stages in the cross-cultural adaptation process. Their transformative process involved five stages: ① experience of a confusing dilemma; ② problem awareness and self-reflection; ③ requests for help and a shift in awareness; ④ perspective shifting and new attempts; and ⑤ awareness of a changed self. Third, there were several factors that catalyzed the participants into adopting positive cross-cultural adaptations. Organizational expectations and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and duty facilitated both crisis and adaptation. Other facilitators of cross-cultural adaptation included advice from those with prior experiences, discussions and conversations with colleagues, advice provided by the Human Resources department, resident Koreans, help from HCNs, and help from natives. Discussions and conversations with colleagues and help from others were found to be vital to cross-cultural adap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광오(Kim, Kwang Oh),이희수(Lee, Hee Su),송영선(Song, Young Sun). (2018).이문화 적응과 전환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 (1), 1-29

MLA

김광오(Kim, Kwang Oh),이희수(Lee, Hee Su),송영선(Song, Young Sun). "이문화 적응과 전환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1(2018): 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