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소재 지역에 따른 진로교육 격차

이용수 35

영문명
Career Education Divide According to the Locations of Element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장현진(Hyun-jin Jang)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0권 제1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의 소재 지역(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벽지)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환경, 운영 및 성과의 격차를 분석하고, 초등학교의 소재 지역이 학생 진로개발 역량이라는 진로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2017)’의 초등학교 진로담당교사 400명, 초등학생 7,879명의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교차분석, 분산분석, 그리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소재 지역에 따라 진로교육 예산 편성, 진로전담교사 배치, 진로교육 부서 설치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의 소재 지역에 따라서 학교 진로교육 운영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활동참여 비율은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나 도서벽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성과 변수로서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진로교육 만족도, 진로개발역량 수준은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나 읍면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의 소재 지역이 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라는 진로교육 성과 측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교육이 열세인 지역의 학교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과 학교의 소재 지역에 따른 진로교육 격차의 원인을 밝히는 심층적인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vide of the elementary school s career education environment, operation,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school locations (big city, small and medium city, rural area, island and remote area), and to identify the impact of school locations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2017) which was conducted on 4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7,879 students. Data analysis included cross-tab analysis using chi-square 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locations, there were educational gaps in career education budget allocation, career teacher placement, and career education department setup. Second,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school career education operations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locations, but students participated in career education activities in big city were more than small & medium city, and island & remote area.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big city showed higher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than small and medium city student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locations of elementary schoo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areer education performance of the student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policy support for the schools in the locations where career education is poor, and the in-depth study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career education divide according to the school lo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현진(Hyun-jin Jang). (2018).초등학교 소재 지역에 따른 진로교육 격차.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 (1), 1-25

MLA

장현진(Hyun-jin Jang). "초등학교 소재 지역에 따른 진로교육 격차."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1(2018):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