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치매노인과 일반노인의 시계그리기검사(CDT)와 얼굴자극그림검사(FSA)의 반응 특성

이용수 90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CDT and FSA drawings by the elderlies with dementia and without dementia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시현승(Si, Hyun-Seung) 김갑숙(Kim, Gab-Sook)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16권 제4호, 169~19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FSA가 노인의 치매를 선별할 수 있는 그림검사도구로서 타당성이 있는지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해 D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치매노인(89명)과 일반노인(117명)을 대상으로 시계그림검사(Clock Drawing Test:CDT)와 얼굴자극평가(Face Stimulus Assessment: FSA)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이원변량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치매노인과 일반노인의 그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유무와 교육수준에 따른 CDT와 FSA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CDT는 치매유무와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FSA 그림 1은 치매유무에 따라서 차이가 있고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FSA 그림 2에서는 치매유무와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CDT와 FSA 점수는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치매노인과 일반 노인의 CDT와 FSA의 반응특성의 차이를 내용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치매노인이 일반노인에 비해 CDT의 작업 수행 결과가 현저히 낮았고, FSA에서는 치매노인과 정상노인 간에 ‘머리 형태’, ‘머리 색상’, ‘얼굴 색상’, ‘성 표현’, ‘옷 형태’에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FSA는 치매 선별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FSA가 노인의 치매를 변별하는 도구로서의 타당성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investigated validity of the Face Stimulus Assessment (FSA henceforth) as a tool to distinguish the elderlies with dementia and the elderlies without dementi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6 elderlies aged 65 or above (89 with dementia, 117 without dementia) living in an urban setting. The CDT and FSA were used as the test tool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wo-way ANOVA test were performed. In addition, characteristics of the drawings by the participants with dementia and without dementia were analyzed through a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DT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istence of dementia and the extent of education. The FSA scores showed differences in the existence of dementia, but not in the extent of education.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DT and FSA. Thir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CDT and FSA drawing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with dementia made more errors than the participants without dementia position. The overall analysis of FSA drawing 1 and 2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participants with dementia and without dementia in the ‘head shape’, ‘hair color’, ‘face color’, ‘gender expression’, ‘clothing shap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DT and FSA can be used as a tool to complement the present measurements to diagnose dementia.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시현승(Si, Hyun-Seung),김갑숙(Kim, Gab-Sook). (2020).치매노인과 일반노인의 시계그리기검사(CDT)와 얼굴자극그림검사(FSA)의 반응 특성. 예술심리치료연구, 16 (4), 169-192

MLA

시현승(Si, Hyun-Seung),김갑숙(Kim, Gab-Sook). "치매노인과 일반노인의 시계그리기검사(CDT)와 얼굴자극그림검사(FSA)의 반응 특성." 예술심리치료연구, 16.4(2020): 169-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