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탈주체의 문화중심에서의 미술교육의 가치체계

이용수 12

영문명
Paradigm Shift in Humanities, from Humanism to Culture-centered: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박정애(Jeong-Ae Park)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30권, 55~7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현대 인문학에서의 주체중심에서 포스트모던 사고인 탈주체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배경으로 미술교육의 제반 가치체계를 담론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인간중심에서 미술은 자기표현으로 간주되었고 독창성과 정서의 함양을 강조하면서 인간교육을 강조하였다. 결과적으로 모더니즘의 이분법은 미술을 주지학문과 구별되는 정서에 관여하는 학문으로 구별하였다. 이에 비해 탈주체의 문화중심에서는 미술이 사회적 생산이며 텍스트임을 확인하고 있다. 사회적 생산과 텍스트로서의 미술은 문화교육에 위치설정된다. 미술이 상징을 이용한 우리의 삶에 대한 은유적 서술이기 때문에 교육 목표 또한 미술을 통한 삶의 이해에 있다. 이를 위해 미술작품의 의미를 읽는 비평적 문해력의 함양이 미술교육의 하위목표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미술의 페다고지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우리가 만든 작품과 다른 사람이 만든 작품의 관계를 파악하는 차원에서 미술을 중심으로 한 통합학문을 지향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술은 정서적 측면이 관여한 인지학문으로서 그 중요성이 재확인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ports research on the value systems flowing from humanism to culture centered postmodernism, as well as the implications that these have for art education. This study uses discourse analyses to illuminate postmodern concepts in art education. Modernist humanism emphasizes individual uniqueness through self-expression, in order to achieve humanistic education. In this context, one s uniqueness and creativity were emphasized as the main aim of art education. Within these discourses art education was classified a subject that could enhance mainly through human sensibility or emotion, whereas mathematics and science were known as cognitive science. However, in culture centered postmodern thought, art is considered as social production and text. Because art is defined as text and intertextuality in nature, consequently, art education is recognized as culture education. Because an artwork as text is also visual metaphor which use symbols within its context, the main purpose of art education is to understand our lives through art. For this, one of the sub-purposes of art education include critical literacy to read the meanings and intentions of artwork. In this sense, its pedagogy is directed art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which art subject plays its key role,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rtworks that I have made along with those others. In this way, art is identified as a cognitive subject in which emotive aspects are deeply involved.

목차

Ⅰ. 서 론
Ⅱ. 인문학에서의 주체중심에서 탈주체로의 패러다임 변화
Ⅲ. 탈주체에서의 미술교육
Ⅳ. 탈주체에서의 미술 페다고지
Ⅴ. 탈주체에서의 미술교육의 가치와 기능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애(Jeong-Ae Park). (2011).탈주체의 문화중심에서의 미술교육의 가치체계. 미술교육연구논총, 30 , 55-72

MLA

박정애(Jeong-Ae Park). "탈주체의 문화중심에서의 미술교육의 가치체계." 미술교육연구논총, 30.(2011): 55-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