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수업에서 시각 이미지가 학습자에게 갖는 의미 탐구

이용수 11

영문명
Exploring the Meaning of Visual Images to Learners in Art Classes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권혁미(Kwon, Hyug-Mi)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50권, 25~4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나’의 미술수업 중 시각이미지 보여주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이다. ‘나’의 미술수업 도입단계에서 작품의 구상과 제작, 미적 체험을 위해 학생들에게 보여준 시각 이미지가 학생들에게는 어떤 의미로 수용되는지 주목하였다. 미술시간, 시각 이미지와의 만남은 대상에 주목하고, 대상을 상상하며, 대상을 해석하는 숙고(熟考)의 과정이면서, 작품 제작을 위한 지식과 기술 습득의 인지적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이 교사의 가르침과 학생의 학습으로 통합되어 하나의 성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교사의 시각과 학생의 시각이 관심과 흥미로서 일치되어야 한다. ‘나’의 미술수업을 되돌아보고 학생들의 목소리를 인터뷰한 결과, 미술수업 도입단계에서 교사에 의해 선별되어 보여진 시각 이미지는 학생들에게 미술 개념과 아이디어 떠올리는데 도움이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빼앗아 작품 제작에 어려움을 주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가 학습의 방향을 정해 주고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통해 그 방향에 획일화된 절차를 밟도록 함으로써 미술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는 믿음은 말 그대로 믿음에 불과하다. 같은 자극이더라도 학습자 개개인의 반응과 표현은 학습자마다 다르다. 학습자 수에 비례하는 학습자의 반응과 표현은 미술학습의 특징이며, 그렇기에 학습자 개개인의 다름을 반영한 시각 이미지의 선별과 투입은 학습목표 달성과, 효과적인 발상을 위한 중요한 조건이 된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부합하면서, 작품 창안 아이디어 씨앗의 역할도 하고,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에 호소하는 시각 이미지는 너무 많지도, 너무 적지도 않게 선별되어 투입되어야 한다. 그것이 좋은 학습 자료로서 효과적인 시각 이미지가 되며, 그것을 선별해 낼 수 있는 것이 교사의 역량이 되는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research, it is a Auto-ethnography that shows visual images in my art class. I noticed in what way the student is accommodating the visual image that the students have shown to students for the idea and production of the work at the introduction stage of my art class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An encounter with a visual image is a process of paying attention to the object, imagining the object, and interpreting the object. Also, it is a cognitive process of learning knowledge and skills for work creation. In order for such a process to be integrated into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toward one growth, the viewpoint of the teacher and the viewpoint of the students are matched as attention and interest. As a result of reviewing my art lesson and interviewing the students voices, the images of the times that were screened out by the teacher helped to visualize the concepts and ideas of the art to the students. However, it was able to know that the visual image deprived students ideas and made difficulties in their work creation. The belief that a teacher can decide the direction of learning and use various visual images to step through the uniformed procedure in that direction makes it possible to gain artistic understanding literally and reliably It is not. Even with the same stimulus, the reactions and expressions of each learner are different for each learner. Reaction and expression in art learning ar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students. Therefore, selection and input of visual images reflecting the differences of each learner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learning objectives, ideas. The visual image must conform to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should be useful for the work, and is consistent with the attention and interest of the learner. It is a visual image as a good learning material and it is the teacher s ability to sort out it.

목차

Ⅰ. 서 론
Ⅱ. 학생과 시각 이미지와의 만남
Ⅲ. 연구결과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혁미(Kwon, Hyug-Mi). (2017).미술수업에서 시각 이미지가 학습자에게 갖는 의미 탐구. 미술교육연구논총, 50 , 25-46

MLA

권혁미(Kwon, Hyug-Mi). "미술수업에서 시각 이미지가 학습자에게 갖는 의미 탐구." 미술교육연구논총, 50.(2017): 25-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