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연구

이용수 233

영문명
A Study on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이승은(Lee, Seung-eun)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연구』제22권 제4호, 67~8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먼저, 현행 교육과정 속에서 다문화 교육과정이 어떤 성격을 갖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행 국가 교육과정 체제에서 다문화 교육과정이 사회적 요구 사항을 반영하지 못한 채 지나치게 축소되어 보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교육과정 문서를 명시적 수준에서만 분석하면 다문화 교육과정이 축소되고 주변부화 되어 보이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교육과정 문서는 명시적 수준과 묵시적 수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전체적인 의의가 살아난다. 이하,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가 교육과정을 묵시적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 다문화 교육과정은 세 층위에서 교육과정 총론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다문화 교육과정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성격과 의미상 연계되었고, 둘째, 다문화 교육과정은 인간상과 교육과정 구성 방침과 의미상 관련되어 있으며, 마지막으로, 다문화 교육과정은 교과 교육과정과의 내재적 관련을 통해 국가 교육과정 속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국가 교육과정 문서를 통해 표현되는 명시적 위상은 다문화 교육과정의 한계를 그대로 보여주는 반면, 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드러나는 묵시적 역할은 다문화 교육과정의 가능성을 보여 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rm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first of all, performed a literary survey on the ro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urvey, this study found that the role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seems highly limited and reduced failing to reflect social needs. In terms of explicit dimension of national curriculum, these findings appear acceptable and legitimate. But the documents of natioanl curriculum should be analysed comprehensively including both explicit and implicit dimensions. After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this study found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closely related with multi-cultural curriculum in three levels. First of all, multi-cultural curriculum is related with competency based curriculum intrinsically. Secondly, multi-cultural curriculum is related with the image of desirable humanity and guidelines of curriculum development meaningfully. Thirdly, only when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is related with subject-matter curriculum immanently, multi-cultural curriculum could play its part properly. In conclusion, explicit dimension of national curriculum shows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however, implicit dimension of national curriculum reveals possibilit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교육과정 총론의 성격과 다문화교육
Ⅲ. 교육과정 총론에서 다문화 교육과정의 위상과 역할
Ⅳ. 다문화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은(Lee, Seung-eun). (2020).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연구. 교육과학연구, 22 (4), 67-87

MLA

이승은(Lee, Seung-eun).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연구." 교육과학연구, 22.4(2020): 67-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