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현장중심 도덕교육론

이용수 52

영문명
A Theory of Moral Education: Interaction-Centered Approach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진미숙(Mi-sook Jin)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171~19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현장의 교사-학생 상호작용 중심의 도덕교육론을 구성하려고 시도한다. 도덕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대답에 따라 도덕교육론을 구성하던 종래의 접근방식을 탈피하고 학교와 교실의 구체적인 교육맥락을 중심에 두고 도덕교육을 바라보는 방법론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학력·학벌주의 교육문화가 심화되고 인성교육의 효율성이 의심받고 있는 학교현장에서, 이러한 연구는 긴요하다. 이를 위해 학교 도덕공동체 구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들, 잭슨(P. Jackson)의 연구, 콜버그(L. Kohlberg)의 정의공동체 접근, 히긴스(A. Higgins)의 학교문화 이론 등을 살핀다. 그리고 교사-학생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문화의 개념을 보완하여 대화를 통한 도덕공동체 구성의 원리를 제시한다. 이 원리에 기초해 학교현장 도덕교육론 구성의 핵심이 되는 교사-학생의 역동적 대화를 분석하기 위한 두 가지 개념적 지표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at we need a new theory of moral education focused on the field of living, which starts from teacher-student interaction. The word, new means the transition from our old question, what is the moral , to relation-focused one, where moral education comes from . The author discussed the former has a significant limit to solve the moral problems arising from academic success-oriented society, such as Korea. To construct an interaction-centered theory of moral education, first, several studies were reviewed, which are primarily on Jackson s research of moral life in school, on Kohlberg s Just Community Approach, and on Higgins school culture concept. The author made it clear that those writings have any limitation, though Higgins concept is more faithful to teacher-student interaction itself. This article became aware of the necessity to study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 especially during the class(lesson), as well as general culture(or climate) streaming through the school. Second, this article sheds a clear light on three principles(or concepts), which can provide useful guidelines to teachers that may take a willing step to establish and practise moral community in school and classroom. Third, this article gives some suggestions for the follow-up studies on school culture and mora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학교 도덕공동체 이론 고찰
Ⅲ. 학교 현장중심 도덕교육론의 원리
Ⅳ. 교사-학생의 도덕적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시사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미숙(Mi-sook Jin). (2005).학교 현장중심 도덕교육론. 도덕교육연구, 16 (2), 171-196

MLA

진미숙(Mi-sook Jin). "학교 현장중심 도덕교육론." 도덕교육연구, 16.2(2005): 171-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