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리학과 덕윤리학

이용수 78

영문명
Neo-Confucianism and Modern Virtue Ethics: On the Contrast between ‘Self-Cultivation’ and ‘Personal Ethics’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차미란(Mi-Ran Cha)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7권 제1호, 23~4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성리학의 수기치인론과 현대 덕윤리학의 사회철학적 관점에 주목하여, 삶의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 관한 양자의 입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성리학의 수기치인론에 따르면, 수기는 치인 이전에 갖추어야 할 조건 또는 ‘근본’이며, 치인은 수기가 사회적 사태에서 표현되는 ‘지말’이다. 치인에 수반되는 마음가짐은 수기에 의하여 갖추어지는 것인 만큼, 개인의 심성함양을 위한 활동으로서의 수기는 치인에 해당하는 활동, 즉 사회적 삶을 이루는 모든 활동이 따라야 할 기준이 된다. 서양의 현대 덕윤리학은 자유주의 사회에서의 공적 윤리 범람과 개인적 삶의 영역에서의 윤리의 공백을 문제 삼으면서, 칸트로 대표되는 법칙윤리학에 대한 대안으로서 덕윤리학이 가지는 의의를, 공적 법칙이나 규칙이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사적 영역에서 개인의 행복 또는 풍요로운 삶의 추구를 위한 방향을 안내하는 ‘사적 윤리’라는 관점에서 규정한다. 개인의 사적 자유와 사회의 공적 이익을 대등하게 존중하면서, 양자 사이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는 서양적 사고방식은 성리학에서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의 구분이 차원에서의 차이를 의미하고, 사적 욕망을 초월한 공적 표준을 추구하는 심성함양의 삶에서 사회적 삶의 기준을 찾는 것과 극명하게 대조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nd compare the views of Neo-Confucianism and modern Western virtue ethics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 life and social life. According to Neo-Confucian idea of ‘self-cultivating’ [修己] and ‘governing-others’ [治人], the former is the root or inner foundation of the latter as its terminal manifestation. Inasmuch as the state of mind which is accompanied with one’s social life is what has been formed through his self-cultivating life, personal ‘self-cultivating’ is to be regarded as logical condition prior to, and normative standard above ‘governing-others’ in social situations. Recently, virtue ethics theorists have diagnosed one serious problem of Western modern liberalistic approach as the blank of ethics for personal life and spillover of public ethics to private sphere. Thus, they try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virtue ethics in terms of ‘personal ethics’ which can guide individual s happiness or flourishing life, as the alternative to rule ethics effectual only for public realm such as Kant’s deontological ethics. This way of thinking oriented to a balance between private freedom and public goodness is sharply contrasted with Neo-Confucian view in that ‘the public’ and ‘the private’ represent two different dimensions, and personal self-cultivating life pursuits to control private desires and conform to public unmanifested standard.

목차

Ⅰ. 서론
Ⅱ. 수기와 치인
Ⅲ. 사적 윤리와 공적 윤리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미란(Mi-Ran Cha). (2015).성리학과 덕윤리학. 도덕교육연구, 27 (1), 23-45

MLA

차미란(Mi-Ran Cha). "성리학과 덕윤리학." 도덕교육연구, 27.1(2015): 23-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