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재의 모방으로서의 예술작품’의 도덕교육적 함의

이용수 150

영문명
An Implication of ‘Works of Art as the Imitation of Reality’ on Mo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홍윤경(Yun-Kyung Hong)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7권 제2호, 21~4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플라톤적 의미의 예술작품이 어떤 점에서 중요한 교육내용이 될 수 있는가를 고찰하고, 예술작품으로서의 교육내용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밝히는 것에 있다. 플라톤에 의하면 교육내용의 가치를 갖는 예술작품은 감각대상으로서의 외양을 복제한 모조품이 아니라 절제, 용기, 지혜 등의 실재를 모방한 모사품이다. 모방의 대상으로서의 실재는 이러한 덕목을 구현한 최상의 마음으로 해석될 수 있다. 외양의 모방에만 관심을 둔 시인은 청중에게 특정한 정서를 유발하기 위하여 시를 쓰는 데 반해 최상의 마음을 모방하는 시인은 훌륭한 사람들이 가질 법한 태도와 정서를 자발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마음을 발달시킨다. 콜링우드의 ‘기술’과 ‘예술’의 구분은 참된 예술의 목적이 마음의 발달에 있다는 플라톤의 견해를 뒷받침한다. 콜링우드에 의하면 예술은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적 지식으로서의 ‘기술’과 달리 자신에게 유익한 정서를 학습함으로써 마음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플라톤에 의하면 예술을 발휘하는 활동으로서의 창작은 교육내용으로서의 예술작품, 즉 ‘무시케’(mousike)를 생성하는 것이다. 감상은 ‘최상의 마음’이 반영된 예술작품, 즉 ‘지상의 아름다움’을 통하여 실재, 즉 ‘천상의 아름다움’을 상기하는 것이다. 그것은 지식, 정서, 태도, 의지 등이 융합된 ‘경이감’을 학습함으로써 용기, 절제 등의 덕을 구현한 ‘최상의 마음’을 획득하는 것이다. 플라톤적 의미의 예술교육은 지식, 정서, 태도, 의지 등이 통합된 성격의 형성을 가능케 하며, 이 점에서 그것은 도덕교육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mplications of Plato’s sense of ‘works of art’ on moral education. According to Plato, works of art which have the educational value, are not the copies of the appearance as the objects of sense, but the imitation of reality as the virtues of courage, self-control, and wisdom. Reality, as the object of imitation, refers to ‘the best mind’ which embodies the virtues. The poets who are solely interested with making copies of appearance, have the purpose of arousing specific emotions of listeners. However, the poets who make efforts to imitate the reality achieve the development of mind through expressing voluntarily the attitudes and emotions of ‘the Good Person’, that is, ‘the best mind’. Collingwood’s division of ‘craft’ and ‘art’ supports the Plato’s idea that works of art help one achieve the development of mind. According to Collingwood, art proper makes possible the development of mind through acquiring the emotion which does good to us. The character of art proper is embodied on works of art as well. Enjoyment of worts of art is compared to Plato’s sense of ‘the recollection of reality’. It is the recollection of the ‘beauty of heaven’ through ‘the beauty of earth’. Learning to enjoy the works of art is to experience something that is ‘the emotion of wonder’, which is the fusion of knowledge, feeling, attitude and will. This learning leads to ‘the best mind’ consisting of the virtues. The best mind acquired by learning ‘mousike’ has to be considered as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Art education having the content of ‘mousike’ which is directed towards the highest values, is to be regarded as the moral education.

목차

Ⅰ. 문제제기: 예술작품은 교육내용이 될 수 있는가?
Ⅱ. 실재의 모방
Ⅲ. 창작: 교육내용으로서의 예술작품의 생성
Ⅳ. 감상: ‘경이감’의 학습
Ⅴ. 결론: 도덕교육적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윤경(Yun-Kyung Hong). (2015).‘실재의 모방으로서의 예술작품’의 도덕교육적 함의. 도덕교육연구, 27 (2), 21-40

MLA

홍윤경(Yun-Kyung Hong). "‘실재의 모방으로서의 예술작품’의 도덕교육적 함의." 도덕교육연구, 27.2(2015): 2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