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반야부 경전에 나타난 ‘空’ 개념의 교육학적 의미

이용수 71

영문명
The educational meaning of ‘Sunya’ in a head of Mahaprajna-sutra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이치형(Chi-Hyoung Lee)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0권 제1호, 143~16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반야부 경전에 나타난 공개념은 분석적으로 접근해서는 그 의미를 온전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이 글에서는, 공개념은 그야말로 수행론의 관점 또는 교육이론―보다 엄밀하게는 메타프락시스―의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그 의미가 온전하게 드러난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이해에는 공의 의미가 단순히 無 또는 허무(虛無)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전제되어 있으며, 이는 곧 空이 우리 ‘마음의 성격’과 관련된다는 점이 함의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승불교에서의 보살(菩薩)개념은 수행론과 관련하여, 우리의 마음을 관념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는 점이 반영된 것임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는 불교 ‘수행론의 관점’을 구체적으로 고찰하면서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르면, 보살의 수행인 ‘자리행의 과정’은 곧 ‘이타행의 확립’의 과정과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점이 확인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meaning of Sunya[空] in a head of Mahaprajnaparamitasutra can not be fully understood with an analytical approach. As an alternative to this, this study tries to clarify the meaning of Sunya is entirely demonstrated when it is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e theory or the theory of education-more precisely, metapraxis. This understanding assumes that the meaning of Sunya is not simply about nothing or nihility, which implies that Sunya is related to our ‘characteristics of mind’. Regarding this, Bodisattva in Mahayana Buddihsm reflects that our mind can not be understood ideologically when it comes to practice theory. The reason for this was to provide considering in detail ‘the perspective of practice theory’ of Buddhism. According to this, it i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only practice of oneself’[自利行], which is the practice of Bodisattva, is not separate from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f practice of ourselves’[利他行].

목차

Ⅰ. 서론
Ⅱ. ‘空’의 성격
Ⅲ. 보살과 이타행
Ⅳ. ‘공’ 개념의 교육학적 의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치형(Chi-Hyoung Lee). (2018).반야부 경전에 나타난 ‘空’ 개념의 교육학적 의미. 도덕교육연구, 30 (1), 143-163

MLA

이치형(Chi-Hyoung Lee). "반야부 경전에 나타난 ‘空’ 개념의 교육학적 의미." 도덕교육연구, 30.1(2018): 143-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