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나옹혜근(懶翁惠勤) 선사상의 특징과 선심의 시적 형상화 연구

이용수 73

영문명
A Study on of the Features of Naong Hyegeun’s Seon Thought and its Poetic Expression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백원기(Baek, Won-gi) 최봉명(Choi, Bong-myeong)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26권, 73~9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나옹혜근(懶翁惠勤, 1320~1376)은 20세에 친구의 죽음으로 인한 생사문제의 해결을 위해 경북 문경에 위치한 공덕산 묘적암의 요연(了然)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이때 나옹의 출가서원을 살펴보면 초출삼계(超出三界) 이후 이익중생(利益衆生)에 그 원(願)을 두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유로 인하여 나옹의 불교적 행보가 사교입선(捨敎入禪)적인 임제종풍의 ‘간화선’을 강조하기도 했지만 계율(戒律)과 가사문학(歌辭文學)에 큰 족적을 보인 것으로도 이해해 볼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나옹의 법맥과 사상적 특징이 무엇인지 또한 고려 말 어지러운 시대적 상황속에서도 출가서원인 초출삼계(超出三界)와 이익중생(利益衆生)의 사유가 어떻게 그의 시심에 녹아들었는지에 대한 고찰에 있다. 나옹의 법맥은 고려 말의 대학자인 이색이 「보제존자어록서」(普濟尊者語錄序)에서 밝혔듯이 지공선현(指空禪賢)과 평산처림(平山處林)의 법통을 같이 받은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그는 국내에서 이미 화엄학과 중관학, 유식학, 그리고 지눌이 선과 교를 정립해 놓은 조계선(曹溪禪)을 수행하고 난 이후 양주 회암사(檜巖寺)에서 4년여의 참선 끝에 깨달음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깨닫고 난후에 깨달음의 점검 차 원나라로 들어가 지공선현과 평산처림을 만났고 그들로부터 인가를 받은 것이다. 따라서 나옹의 깨달음은 이미 국내에서 완성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이후에 지공과 평산으로부터 받은 인가는 그가 그 어떤 사상에도 치우침이 없이 그 모든 사상을 폭넓게 수용하여 자신만의 선을 구축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것은 즉심시불(卽心是佛)의 사상과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의 돈오적 선사상과 더불어 화엄사상 즉 교학의 사상에 바탕을 두고 그 어떤 사상에도 치우치지 않은 원융(圓融)한 한국의 불교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한편, 나옹은 단지 쓰러져 가는 고려 말 불교계의 한 지도자로서 선을 통한 깨우침만 강조한 것이 아니라 정토신앙과 가삼수(歌三首)를 통해 불교의 대중화에도 크게 기여한 선승이면서도 개혁 승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나옹의 시문학은 선적 깨달음을 바탕으로 무심(無心)의 세계를 고도의 비유와 상징 그리고 역설적인 선어(禪語)로써 선과 교의 양면을 시심(詩心)으로 담아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Naong Hyegeun(1320-1376)’s Seon thought and its poetic expression, focusing particularly on his lineage of Dharma, the characteristics of Seon thought, and how his thought is depicted in his poetic world in the course of cultivation of the Truth. Naong Hyegeun renounce the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his close friend’s death. At the age of 20, he became a disciple of Seon Master Yo Yeon at Myojeokam(妙寂庵) located in Mungyeong, Gyeongbuk. Actually, his motivation of renunciation is Chochul Samgye(Free from supra-mundane worlds, 超出三界) and Yiyik Jungsaeng(abundant benefit for all living beings, 利益衆生). A feature of Naong’s thought is WonyungMuae(complete unobstructed interp-enetration of things, 圓融無碍). In particular, his thought succeeds to the dharma lineage of Gigong’s and PyeongsanChurim’s Seon thought, which is recorded in the Bojejonja’s Eorokseo(普濟尊者語錄序) written by Lee Saek, a scholar of the later Goryeo. Naong s dharma lineage is much influenced by the thought of Jigong. Naong has already studied several scriptures in Korea, and after practicing Jinul s Seon thought, the core of the Jogye(曹溪) Lineage, Naong seemed to attain enlightenment after four –years zealous practice in Hoiam temple(檜巖寺). After attaining enlightenment, he went Won Dynasty and met great Seon master JiGong Sunhyun(指空禪賢) and Pyeongsan Churim(平山處林), and he got the seal of approval(印可) from them after Seon dialogue(禪問答). On the one hand, Naong s enlightenment seems to be already completed in Korea, because he built up his own Seon system by broadly embracing diverse Buddhist thought without any prejudice. Also, his thought is based on the idea of Hwaeom(Dharmadatu, 華嚴), or the scriptures stressing the universal cosmic law of non-discrimination) as an expedient of right enlightenment, which means one of Korean Buddhist characters: Non-sectarian, or all-embracing Buddhist doctrine without predilection to any school or sect. Naong s is not only emphasizing enlightenment through Seon as a leader of the collapsing later Goryeo Dynasty, but also he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through the faith and song as a reformer and a seon master. In this vein, one of Naong Hyegeun s poetics can be said to be a product of poetic imagination, and the other is his poetic expression based on the enlightenment’s realization through Seon mind, by harmonizing both sides of Seon and the doctrine with a high metaphor, symbol, and paradoxical Seon diction

목차

1. 서론
2. 나옹혜근의 법맥과 사상 및 시문학의 특징
3. 나옹혜근의 선심의 시적 형상화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원기(Baek, Won-gi),최봉명(Choi, Bong-myeong). (2020).나옹혜근(懶翁惠勤) 선사상의 특징과 선심의 시적 형상화 연구. 퇴계학논집, 26 , 73-98

MLA

백원기(Baek, Won-gi),최봉명(Choi, Bong-myeong). "나옹혜근(懶翁惠勤) 선사상의 특징과 선심의 시적 형상화 연구." 퇴계학논집, 26.(2020): 73-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