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업교육, 기술교육, 공학교육의 연계 방향

이용수 18

영문명
Directions to Solve Contemporary Problem in Technology Education, Industrial Education and Engineering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조승호(Seung Ho Cho)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25권 제1호, 137~15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공학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교육-공업교육-공학교육의 현안문제에 관한 것으로, 기술교육의 공업기술 과목의 활성화, 공업교육의 계속 교육형 교육과정, 공학교육의 공학소양교육을 다루었다. 각 교육영역은 자신의 영역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다른 영역의 도움도 필요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기술 과목은 교육과정에서 학생이 자유로운 과목선택이 어렵고,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제외되어 있어서 선택되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공업기술 과목은 공학입문의 성격을 갖고 있으므로 공과대학에도 도움이 되는 교과목이다. 서로 상호 보완할 수 있는 계기와 연대가 필요하다. 둘째, 7차 교육과정의 완성형과 계속형의 교육과정은 개혁의 수준에서 개편되어야 한다. 완성형은 약화되었던 실습능력을 대폭 강화해야 하고, 계속형은 대학 진학 후 학력저하의 문제까지 해소해야 한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개편은 일본 어드밴스 테크니컬 하이스쿨의 지역 그룹화와 전공 유형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공학교육은 IMF 이후의 ``공학교육의 위기``극복과 내실화의 일환으로 공학소양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공학소양은 장시간에 걸쳐 형성하는 것이므로, 초중등 교육과정의 실과와 기술·가정과의연대가 필요하다. 구체적인 방법은 공학인증 기준과 기술적 소양의 공통요소와 실과와 기술·가정의공학기술 관련 내용을 통해서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rections to solve contemporary problem in technology education, industrial education and engineering education. These problems were the revitalization of industrial subject, the detection of alternative curriculum for continuing course, and to take up the early engineering literacy in technology subject of K-12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follows : First,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 optional course in the academic high school in Korea, was being a end of the road. Though students choose this subject, there is nothing to be gained by doing so for their entering a school of higher grade. This subject came under an introduction to engineering in engineering college, it was in need of support from engineering college. This subject would provide engineering college with the engineering literacy. It was necessary for them to be the state of mutual complementary cooperation. Second, 7th curriculum in Korea had been both finished course and continuing course. There were pressing problems that the lack of practice hour in finished course and the inactivity of the learning ability in continuing course. The solution of these problems were detected the major type and regional group at Advance technical high school in Japan. Third, engineering literacy education was doing the substance for engineering education. This was needed a early education, because literacy took a long time. Technology educators were able to teach their student early engineering literacy, because technology education had something in common with engineering education. There were many something to detect common in between technology literacy and the criterion 2000 of engineering certif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inevitable conclusion that solidarity between technology education and engineering educ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승호(Seung Ho Cho). (2006).공업교육, 기술교육, 공학교육의 연계 방향. 직업교육연구, 25 (1), 137-157

MLA

조승호(Seung Ho Cho). "공업교육, 기술교육, 공학교육의 연계 방향." 직업교육연구, 25.1(2006): 137-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