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층 구직역량 개념 정의 및 가중치 분석

이용수 95

영문명
A Study on Defining the Concept and Estimating the Weight of Employment Competency for the Youth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고재성(Jae Sung Go) 이건남(Gun Nam Lee) 김성남(Sung Nam Kim) 변정현(Jung Hyun Byun)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29권 제2호, 17~4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년층의 구직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직에 필요한 역량을 신장시켜 줄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및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청년층의 구직에 필요한 역량들이 무엇인지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구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청년층 구직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직역량의 하위역량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두 차례에 걸쳐 관련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구직역량의 개념과 하위역량을 정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확정된 구직역량에 대한 영역별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탐색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 구직역량은 `고교, 전문대학, 대학교 졸업 예정자들이 첫 직장을 성공적으로 얻고 적응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총체적 능력`을 의미하며, 구직역량은 구직 지식군, 구직 기술군, 구직 태도군, 직무 적응군의 하위역량군으로 구성된다. 구직역량은 구직에 필요한 실체적 기술 뿐만 아니라 지식, 태도 등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능력을 의미하며, 구직 이후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능력들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구직역량의 하위역량은 구직 지식군 5개, 구직 기술군 5개, 구직 태도군 4개, 직무 적응군 6개의 총2개의 하위역량으로 구성되었으며, 가중치 분석 결과 직무 적응군의 가중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구직역량군별 가중치 분석 결과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 할 역량은 구직 지식군의 경우 구직자 자신에 대한 이해였으며, 구직 기술군은 인적 네트워크 활용 능력, 구직 태도군은 긍정적 가치관, 직무 적응군은 문제해결능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필요한 연구 및 연구결과의 활용 방안에 대한 내용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oncept of employment competency for the youth and to estimate the weight of sub-competencies. For the purpose, the conception of employment competency and the definition of sub-competencies were defined according to Delphi survey, which was conducted twice. Finally, the weights about confirmed employment competencies was estim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the youth competency means whole ability of expectant education high school, college, and university to gain the first job successfully and to adjust. Each employment competency consists of 4 sub-competency groups; employment knowledge, employment skill, employment attitude, and job adjustment groups. Employment competency includes whole ability of knowledge, attitude, and etc, as well as practical skills for employment. Second, each sub-employment competencies consists of 20 parts in total; 5 employment knowledge, 5 employment skill, 4 employment attitude, and 6 job adjustment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of estimating the weights, the weights of job employment competency were on the top. Third, wit the result of estimating the weights in the employment competency domain,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to deal with was `self-understanding` for employment knowledge group, `human network application ability` for employment skill group, `positive value system` for employment attitude group, and `problem-solving ability` for job adjustment group.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재성(Jae Sung Go),이건남(Gun Nam Lee),김성남(Sung Nam Kim),변정현(Jung Hyun Byun). (2010).청년층 구직역량 개념 정의 및 가중치 분석. 직업교육연구, 29 (2), 17-42

MLA

고재성(Jae Sung Go),이건남(Gun Nam Lee),김성남(Sung Nam Kim),변정현(Jung Hyun Byun). "청년층 구직역량 개념 정의 및 가중치 분석." 직업교육연구, 29.2(2010): 17-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