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이탈여성의 직업교육훈련 경험과 개선 과제

이용수 41

영문명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and policy needs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박성정(Sung Jung Park) 오은진(Eun Jin Oh)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31권 제4호, 135~15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 사회에 북한이탈주민들의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고, 그 가운데 여성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북한이탈여성들은 탈북과정에서 극심한 고통을 겪어 정서적, 신체적 건강상태가 매우 좋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사회에서 경제적으로 자립해야 하는 매우 어려운 과제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여성들의 직업교육훈련 및 취업실태와 문제를 분석하여 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여성과 지원기관 관계자들을 면담하여 그 자료를 질적으로 내용분석하였다. 북한이탈여성들은 취업취약계층인 경력단절여성이나 다문화여성들과 일정 부분 어려움이 공통되지만, 일면으로는 더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파악된다. 북한에서의 경력이 남한으로 오면서 단절되었고, 자본주의사회로 오면서 문화단절도 겪게 된다. 직무수행 능력부족, 정서적 불안과 자신감 부족, 일과 가정 양립 문제, 보육문제, 연령 제약 등은 여성들이 겪는 공통적인 어려움에 해당한다. 정서 불안과 자신감 부족은 전혀 다른 사회체제에 적응해야 하는 북한이탈여성들의 경우 훨씬 심각한 문제이다. 남한에 가족이나 친척이 없는 북한이탈여성들의 경우 보육의 어려움은 더 크며, 취업시장에서 경력단절여성들이 겪는 성차별, 연령차별 외에 북한사람에 대한 차별까지 삼중고를 겪게 된다. 자립을 위해 훈련을 받아야 하지만 언어이해력 부족, 훈련과 생계 병행의 어려움, 훈련기관과 훈련과정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적절한 훈련을 받기 어렵고, 취업에 있어서는 직업과 직무에 대한 정보 및 기본지식 부족, 숙련도 부족, 취업 가능 직종의 제약, 편견으로 인한 취업과 직장 적응의 어려움 등을 겪는다. 훈련기관들이 북한이탈여성들을 위해 훈련과정을 개설하고자 해도 수강생 모집의 어려움으로 훈련과정을 폐강하는 경우가 많다. 북한이탈여성들은 폐쇄적이고 사적인 경로를 통해 얻는 정보를 신뢰하여, 그들에게 잘 알려진 소수 훈련기관들 외에 다양한 훈련기관과 과정을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결국 현재 북한이탈여성들에게는 훈련과 취업에 관한 정보와 기회가 효율적으로 전달되고 지원되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그들의 사회적, 경제적 적응과 자립을 위해서는 교육, 훈련, 노동, 여성정책의 경험과 전략이 통합적으로 투입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본 연구에서 포함하지 못한 연령별, 학력별, 경력별 심층 분석과 지원과제 개발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Currently,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has increased, more than 70% of whom are females.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is expected to rise, and majority of them are forecasted to be women. As a result, in order to stabilize the livelihood of female refugees and promote their self-reliance, their vocational capability should be further develop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aining and employment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and present improvement policies.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have some difficulties in common with career-discontinued women or thos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ut are faced with more serious hardships. As they move to South Korea, they lost their careers in the North, even experiencing cultural gap. Also they have experienced emotional instability, lack of job skills and confidence, an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etc. Those who don`t have families in the South have gone through more hardships in childcare. In the labor market, female refugees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against North Koreans, as well as discrimination in gender and age. In order to efficiently deal with such issues, education, vocational training, employment and gender policies should cooperate with one another. Comprehensive services such as helping home affairs and providing information they need as well as job training and employment support should be effectively offered. Also, education for communicating and cultural understanding abilities, prerequisites for successful adaptation in work place and society, should be provided as a long-term project.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정(Sung Jung Park),오은진(Eun Jin Oh). (2012).북한이탈여성의 직업교육훈련 경험과 개선 과제. 직업교육연구, 31 (4), 135-152

MLA

박성정(Sung Jung Park),오은진(Eun Jin Oh). "북한이탈여성의 직업교육훈련 경험과 개선 과제." 직업교육연구, 31.4(2012): 135-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