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대학 교육과정 평가 준거 분석
이용수 46
- 영문명
- An Analysis of Evaluation Criteria of Colleg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백남진(Nam Jin Paik) 김수연(Soo Yeon Kim)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33권 제1호, 133~15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문대학 교육과정 평가의 준거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첫째,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및 영역과 전문대학 교육과정 평가의 동향을 검토하고, 둘째, 4개 전문대학의 교육과정 평가 준거와 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의 교육과정 관련 평가 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과정의 범위 규정에 있어서 분석 대상 대학과 인증원 평가기준 간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분석 대상 대학과 인증원은 ‘상황평가’의 준거 제시에 초점을 두었다. 셋째, 분석 대상 대학과 인증원은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과목별 학습목표의 일관성 제시에 초점을 두었다. 넷째, 목표와 평가와의 일관성은 일부 대학과 인증원의 준거에서만 제시되었다. 다섯째, 교육목표 설정과 관련하여 대학들은 목표 도출 과정을 중시하고, 인증원은 목표 제시 여부만을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여섯째, 일부 대학과 인증원은 평가 결과가 개선에 활용될 것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이루어질 전문대학의 교육과정 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평가에서 졸업생 역량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의미를 폭넓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평가에서 역량을 중심으로 교육목표와 평가와의 일관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평가에서 대학의 자체평가와 외부 기관의 인증평가는 교육과정의 개선 및 변화를 위해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 평가는 지속적으로 교육과정의 질을 관리하고 질 높은 교육과정을 위해 개선을 이끄는 것이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aluation criteria of college curriculum. To fulfil the purpose, first, this study reviewed the domain and trend of curriculum evaluation, second, it analyzed the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of 4 colleges(A, B, C, D college) and KAVE(Korea Accreditation Board for Vocational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a relating curriculum domain, third, it drew implications for better evaluating college curriculum. As a result, first, Each of 4 colleges and KAVE had different views about the domain of evaluation, second, 4 colleges and KAVE highlighted to present criteria in relation to ‘context evaluation’, third, all of them focused the connection between curriculum objectives and subjects objectives in criteria, fourth, ‘A college’, ‘D college’ and KAVE stressed the connection between objectives and students evaluation processes in criteria, fifth, all of 4 colleges empathized drawing processes of objectives, while KAVE evaluated whether or not college had objective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general. sixth, ‘B college’ and KAVE put emphasis on reflection of evaluation results for curriculum improvement. Evaluation of college curriculum have to lead colleges to review their own curriculum and to develop quality 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전문대학 교육과정 평가의 이론적 기초
Ⅲ. 전문대학 교육과정 평가 준거 사례
Ⅳ. 전문대학 교육과정 평가 준거 비교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훈련서비스 품질과 훈련만족도 및 고용가능성의 관계
- 여성주의 도덕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 전문성의 대안적 탐색
- 기능적 결손가정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다문화실천가의 문화적 역량형성에 대한 이해
- HRD 컨설턴트의 경력 정체, 조직 몰입, 이직 의도의 관계
- 우수 직업훈련 기관장의 리더십 특성 연구
- 프랑스 중등직업교육의 일,학습 연계 체제와 시사점
- 제조업 남성 연구직의 개발지원 관계망 특성이 주관적 객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개발지원 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산림분야 신규 자격종목 선정 연구
-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이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 교육과정 평가 준거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