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자􋺸· 「천하」편의 사상 분석 -황로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138

영문명
An analysis on the thoughts of 􋺷Chang-tzu􋺸 ·「Chun-ha」 - Focused on Hwanglao-xhe -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이동욱(Lee, Dong-wook)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25권, 605~64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장자󰡕는 노장사상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현존본 󰡔장자󰡕는 동진시대의 곽상이 주석한 판본으로 장자의 시대와 5백여 년 정도의 시간적 거리가 있다. 따라서 󰡔장자󰡕 33편을 모두 장자의 저작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특히 「천하」편의 내용은 대부분 장자의 저술로 추정되는 「내편」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내편」과 「천하」편에 언급된 장자의 ‘도’와 장자학파의 ‘도’를 구분해 보고, 장자학파[즉 「천하」편의 작자들]의 ‘도’가 장자의 ‘도’와 다른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내편」의 내용을 살펴보면, 공자와 안회가 등장인물로 자주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장자는 유가사상의 주장을 많이 의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편」에 등장하는 공자는 유가사상가라기보다 도가가상을 이해하는 인물로 묘사되고 있고, 안회 역시 도가사상의 원리들을 공자에게 질문한다. 또한 「내편」에는 직하학파의 학자들은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다. 다만 장자 자신과 혜시가 대화하는 장면을 자주 등장시키는 것으로 볼 때, 혜시의 영향은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장자는 「내편」을 통해, 노자가 주장한 ‘도’를 상당히 발전시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노자의 ‘도’를 비교적 낮게 평가하면서, 노자와 상당한 거리를 두고 자기 나름의 ‘도’이론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비해 「천하」편에 보이는 장자의 ‘도’는 「내편」과는 달리 장자학파에 의해 서술되었다. 장자의 제자들은 장자와 달리 당대의 사상가들과 비교적 활발하게 교류하였고, 교류과정에서 당대 사상가들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 만물제동(萬物齊同), 기지거기(棄知去己) 등 송형·윤문·신도 등 황로학의 원조인 몇몇 직하학자의 주장은 「천하」편에 많이 수용되었다. 또 혜시·공손룡 등 명가학파의 주장도 많이 수용되었다. 논리와 사유를 극도로 전개시키거나 서로 상반되는 논리를 연속적으로 펼쳐서 제시하고 결론을 독자의 상상력에 내맡기는 식의 문체 역시 명가학파의 영향이다. 장자에 의해 주장된 ‘도’는 만물의 원리 및 만물운행의 이치에 관심을 둔다는 점에서 노자의 ‘도’에 대한 관점을 발전시킨 것이다. 하지만 「천하」편의 작자들이 수용한 ‘도’에 대한 인식은 장자에 비해 비교적 복잡하였다. 그들은 전국시대말의 혼란스러운 사상국면을 구제해야 하겠다는 점에서는 장자의 입장과 비슷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장자보다 좀 더 급진적이었으며 묵가학파의 반전주장이나 명가학파의 궤변적 논리사유, ‘무위이치(無爲而治)’의 정치가 사회에 필요하다는 황로학적 주장까지 수용하였다. 요컨대 「천하」편의 작자들은 보다 현실적인 사회참여론자였던 것으로 보이며, 그들의 주장은 한나라 시대에 완성된 황로학의 사상에도 일정정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Chang-tzu󰡕 is irrefutably a significant historical source to develop a deeper understanding of Taoism philosophy. The now-existing edition of 󰡔Chang-tzu󰡕 is annotated by Gwak-sang from the Dongjin-era, which has a gap of about four to five hundred years between the period Chang-tzu lived. Consequently, it is too early to view Chang-tzu as a sole writer of 33 chapters in 󰡔Chang-tzu󰡕; especially, the chapter “Chun-ha” largely differs from the “Nae-pyeon”, which is almost certainly presumed to be written by Chang-tzu. Therefore, this paper essentially aims to differentiate the concept of Tao that appears in chapters of “Chun-ha” and “Nae-pyeon” and also explores the difference between Chang-tzu s and the Chang-tzu school s (the writers of chapter Chun-ha”) definition of Tao. Considering how frequent Confucius and Ahn-hwae appears in “Nae-pyeon,” it is inferred that Chang-tzu was conscious about the Confucian philosophy that dominated the society at that time. However, in the chapter “Nae-peun”, Confucius is depicted as a figure who obtains deeper understanding of Taoist principles. Also, Ahn-hwae asks Confucius the questions that are mainly related to Taoism principles. Additionally, the names of scholars Ghikha” are hardly ever mentioned in Nae-pyeon.” However, considering Chang-tzu introduces his conversations with Hye-shi several times in his book, the readers can infer that Chang-tzu was immensely influenced by Hye-shi as an exception. In his writing, Chang-tzu provides an additional explanation of Lao-tzu s definition of Tao, which he later elaborates on. However, Chang-tzu does not necessarily highly appreciate Lao-tzu s philosophy on Tao, and Chang-tzu develops his version of Taoism. In contrast, the concept of Tao in Chun-ha” is mainly formulated by Chang-tzu’s school scholars, not by Chang-tzu. Different from Chang-tzu, Chang-tzu’s disciples actively interacted with the thinkers of the age, which helped them to understand the leading philosophical arguments in Chinese society. The arguments( manmuljedong , gijigeogi , etc.) of Song-hyung, Yoon-mun, Shin-do(central figures of Hwanglao-xhe) were extensively accepted in Chun-ha.” Besides, the philosophies of scholars “Myenogga”(Hyeshi, Gong-son ryong, etc.) were adopted in the same chapter. Chun-ha” followed the style of writing that is commonly used between scholars “Myeongga”; logic is first developed through the technique of contrast, and it was the role of the readers to freely imagine of the possible conclusions that may come out. Since Lao-tzu’s view of Tao focuses on the principles of how all creations in the universe work,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his view advanced from Confucius’s view on Tao. However, the perception towards Tao by the authors of Chun-ha” is rather complicated. Their view aligns with Chang-tzu s in a way that both aimed to revolutionize the Chinese philosophical system that had not been perfectly established. However, the authors of Chun-ha” differ from Chuang-tzu because they also accepted Hwanglao-xhe thinking, which stresses the need for revolutionizing politics. Additionally, compared to Chang-tzu, their view was more radical. They even accepted the argument against war by the scholars “Mukga”, the sophistic logic of the scholars “Myeongga”, and Hwanglao-xhe thinking that Muwiichi politics are necessary for society. Considering the aforementioned points, it is concluded that the writers of Chun-ha” were active participants in social/political affairs, and their view greatly influenced Hwanglao-xhe, which was perfected during the era of Han.

목차

1. 서론
2. 장자학파와 「천하」편의 성립
3. 􋺷장자􋺸·「내편」 중의 ‘도’
4. 「천하」편에 나타난 ‘도’와 황로학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욱(Lee, Dong-wook). (2019).􋺷장자􋺸· 「천하」편의 사상 분석 -황로학을 중심으로-. 퇴계학논집, 25 , 605-642

MLA

이동욱(Lee, Dong-wook). "􋺷장자􋺸· 「천하」편의 사상 분석 -황로학을 중심으로-." 퇴계학논집, 25.(2019): 605-6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