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생활자원 관점에서의 실과(기술·가정) 환경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37

영문명
The Strategy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Practical Arts(Technology Home economics) Subject in a viewpoint of the Clothing & Textiles resources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정미경(Chung Mee-Kyung)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6권 제3호, 131~14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의생활 영역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의생활자원관정에서 실과(기술·가정) 교과에서 환경교육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의생활 자원의 소비, 의생활자원의 환경문제 및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과 규제와 기업의 섬유환경기술, 환경교육에 관한 자료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의생활 자원 관점에서의 환경교육 체제눈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한 정부, 가정, 기업, 환경단체의 상호연계 체제로 이루어져야하며, 아울러 의생활 자원 관점에서 환경 교육은 실과(기술·가정) 교과에서 담당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로, 실과(기술·가정) 의생활 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할 환경교육내용을 의생활 환경자원의 인식(섬유소비량, 생산과 환경문제) , 의류의 마련과 계획 및 구매(계획, 구매) , 의류의 관리(피복재료의 이해, 인체와 환경, 세탁과 환경오염, 정리와 보관) , 의류의 재활용 및 폐기(기부, 리디자인, 리사이클, 폐기) 의 4개영역의 12개 하위요소를 추출하여, 실과(기술·가정) 의생활 영역 환경교육내용의 분석 준거로 삼았다. 셋째, 의생활 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할 환경교육내용을 준거로 현행 실과(기술·가정) 교과를 분석한 결과, 의생활과 관련한 환경 교육은 중학교 과정에서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생활과 관련한 환경 교육 내용면에서는 초·중등 모두 재활용 부분에 집중되어 있으며 나머지 영역에서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과(기술·가정) 교과에서의 의생활영역의 환경교육 내용을 분석한 후 실과(기술·가정) 각 의생활 단원에서 다루어지지 않았거나 미흡한 내용의 환경교육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n a viewpoint of the clothing & textiles resources to resolve problems in the clothing life area. For thi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which is related with the consumption,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e environmental policies. and regulations of the government and new environmental technologies, of clothing & textiles, industrie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 model in a viewpoint of the Clothing & Textiles resources was developed. This model system is consisted with interactions on school, government, industry, home and non-government organizations. Thus, the fact that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were the most effective subject to teach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viewpoint of the Clothing & Textiles resources was confirmed. 2) The standards were analysed out to analyse the contents in the clothing area of the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t were consist of 4 factors and 12 elements under the factors: Awareness of clothing & textile resources(clothing consumption, production of clothing & textile and environmental problems), Planning and buying of clothing(planning, buying), Management of clothing(understand of textile, human body & environment, laundering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rrangement & conservation) Recycling & exhaust of clothing(contribution. redesign, recycling, exhaust) 3) Analysing the current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from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clothing sect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related with clothing were taught the most in the middle school course, and environmental contents were concentrated in the recycling factors. but not so much on other factors. 4) After analysing the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the strategies were suggested for reinforc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clothing of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목차

Ⅰ. 서론
Ⅱ. 의생활자원과 환경
Ⅲ. 의생활자원 관점에서의 환경교육 접근체계
Ⅳ.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에서의 의생활 관련 환경교육 내용분석 및 강화 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미경(Chung Mee-Kyung). (2004).의생활자원 관점에서의 실과(기술·가정) 환경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6 (3), 131-146

MLA

정미경(Chung Mee-Kyung). "의생활자원 관점에서의 실과(기술·가정) 환경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6.3(2004): 131-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