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기술 · 가정 교과 선호도 및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50

영문명
A Study o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Prefer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for Technology·Home Economic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최동숙(Choi Dong-Sook) 전경숙(June Kyung-Sook)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8권 제4호, 39~5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따른 기술 · 가정 교과의 선호도와 학습효과를 차이를 분석하여 남녀학생 모두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춘천시의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양성평등의식과 기술 · 가정 교과에 대한 선호도 및 학습효과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양성평등의식은 높은 수준이나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교 유형에 따라서는 여학교, 남녀공학, 남학교의 순으로, 담당 교사 유형에 따라서는 통합인 경우가 분리 보다 양성평등의식이 높았다. 기술 · 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는 남녀학생 모두 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가 높았으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고, 기술 선호도와 학습효과는 남녀학생 모두 낮았으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낮아 여학생의 기술과 가정 편차가 남학생에 비해 더 컸다. 학교 유형에 따라서는 여학교의 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가 높은 반면 기술 선호도와 학습효과는 남학교가 높았다. 담당 교사 유형에 따라서는 통합인 경우가 분리인 경우보다 가정 선호도와 기술 선호도가 높았다. 양성평등의식에 따라서는 양성평등의식이 상과 중 집단이 하 집단 보다 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가 더 높았고, 기술 선호도는 양성평등의식이 상 집단이 중과 하 집단 보다 더 낮았다. 결론적으로 기술 · 가정 교과 선호도와 학습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양성평등의식과 성별이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첫째, 남학생의 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이 필요하다. 둘째, 기술 선호도와 학습효과는 가정에 비해 낮으므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현저하게 낮은 여학생의 기술 선호도와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기술 · 가정 담당교사는 1인의 교사가 모든 단원을 전담하여 지도하는 통합형이 바람직하다. 넷째, 중등학생의 성 역할 고정관념을 제거하여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교과지도 프로그램을 기술 · 가정교과에 적극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on the preference for Technology · Home Economics and its learning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prefer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were measured among a number of 40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uncheo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1.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the higher prefer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for the Home Economics area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than they had for the Technology. 3. Female student s prefer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for the Home Economics area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 s. Male student s prefer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for the Technology area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 s. 4. The group which had relatively hig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core showed the higher prefer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for the Home Economics area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than the group with low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core. In contrast, the group with low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core had the higher preference for the Technology area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than the group with hig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core. In conclusio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gender type had the most strong influence on the prefer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for Technology · Home Economics among middle-high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관련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동숙(Choi Dong-Sook),전경숙(June Kyung-Sook). (2006).중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기술 · 가정 교과 선호도 및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 (4), 39-54

MLA

최동숙(Choi Dong-Sook),전경숙(June Kyung-Sook). "중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기술 · 가정 교과 선호도 및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4(2006): 39-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