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죤 리비 콜렉션의 서우제소리 고찰

이용수 78

영문명
A Study on Seoujesori, Jeju Folksong Menuscripted Collection by John Levy, in 1960 s
발행기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저자명
윤명원(Yoon, Myungwon)
간행물 정보
『음악교육공학』제42호, 151~17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1.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 1960년대 한국을 방문하여 제주도 민요를 녹취한 바 있는 영국의 음악인류학자 죤 리비의 한국음악 콜렉션 중 서우제소리의 음악적 정보와 제 특징을 파악하고, 과연 이 서우제소리가 제주도 민요에서 가지는 특징과 토리 개념을 정립하는데 어떠한 단초를 제공하는 것인지, 앞으로 음악교육에서 어떠한 관점에서 지도해 나가야 하는지 등에 대해 살펴본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우제소리는 제주도 영등굿 놀이 무가에서 유래된 민요이다. 현재에도 무가로 부르며, 동시에 해녀노래나 김매기 노래 그리고 창민요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운다. 둘째, 서우제소리의 가사는 4 ‧ 4 조의 가사로 주로 기원, 축원, 풍류 등에 관한 내용으로 일정하게 정해진 것이 없이 가변적이다. 셋째, 서우제소리는 서우제소리와 자진 서우제소리의 두 종류가 있다. 즉, 한배가 서로 다른 스타일이 있다. 이 때 긴서우제소리는 굿거리 또는 중중모리장단으로 부르고, 자진 서우제소리는 자진모리장단에 가까운 자진굿거리장단으로 부른다. 넷째, 서우제소리의 가창방식은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2장단을 노래하고, 2장단을 후렴으로 받는 방식으로 노래한다. 다섯째, 서우제소리의 후렴은 중간음 에서 시작하는 것과 아래 음에서 위로 진행하는 2가지 종류가 있다. 여섯째, 서우제소리의 노래가락의 윤곽선은 높은 음에서 낮은 음으로 하강하는 특징을 갖는데 메기는 가락이나 후렴 가락 공히 동일한 음으로 맺는다. 일곱째, 서우제소리는 무반음 5음 음계로 ‘솔라도레미’와 ‘도레미솔라’의 두 가지 민요 선법으로 불린다. 이 때 ‘도레미솔라’ 선법은 육지에는 없는 독특한 선법이다. 제언은 두 가지 이다. 첫째, 무가에서 유래되었지만, 무속을 강조하기보다는 모두 안녕하고, 어떤 일이 잘 되기를 바라는 기원, 축원 그리고 고된 일을 할 때 위로와 놀이적 신명을 강조하는 가사를 중심으로 채택하여 지도하기를 바란다. 둘째, 고정화된 가사와 선율이 없는 상황에서 교과서 마다 서로 다른 제재곡의 악보와 가사를 사용하기 보다는 학교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표준악보(국립국악원 지정)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modal characteristics of Jeju folksongs and to suggest a teaching and learning idea on Seoujesori. But Jeju folksongs have not yet established the concept of ‘Jeju tori’ that defines their musical features. So I would examine for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Seoujesori in Jeju folksong menuscripted collection by John Levy, in 1960 s, furthermore it would be compared with academic results in this fields. After searching for a problems, it finally proposes a modal characteristics of Jeju folksongs and suggest teaching point about Seoujesori. As a result, the summary of this paper is as following: Seoujesori is a representative folksong derived from shaman song in Jeju area. It is same case as Changbutaryeong, Noraegarak in Gyeonggi province. Therefore, it has singing culture more dual purpose among the people of Jeju, for example, shaman ritual song, weeding song, fisherwomen song and so on. It has a 4✕4 rhyme narration with theme related of praying, blessing, elegance etc. but text is very flexible. In form, it has dual type, former is normal tempo sung by Gutgeori, Gin Seoujesori, another is little fast tempo sung by almost Jajinmori, Jajin Seoujesori. Also it sung by Megigobutneunsori, call and response form, that composed 2 Jangdan calling and 2 Jangdan respond(refrain). The melodic contour of Jeju folksong is a descending line starting with a high point, similar to that of Gyeonggi province. Jeju folksongs are commonly set on an anhemitonic pentatonic scale structure. Especially Do Re Mi Sol La scale mode of Seoujesori is assumed a indigenous modal characteristic element but it couldn t be find out in main Korean territory. Lastly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it need to be watch in using music material, text and score of Seoujesori in publishing of music textbook for prevent to confuse in school.

목차

1. 서론
2. 죤 리비 콜렉션의 서우제소리
3. 서우제소리의 음악적 특징
4. 요약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명원(Yoon, Myungwon). (2020).죤 리비 콜렉션의 서우제소리 고찰. 음악교육공학, (42), 151-171

MLA

윤명원(Yoon, Myungwon). "죤 리비 콜렉션의 서우제소리 고찰." 음악교육공학, .42(2020): 151-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