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성인의 학업 외상 : 학업 정서 및 외상후스트레스 증상과의 관계
이용수 221
- 영문명
- Academic Trauma in Korean Adults: Relationships to Academic Emotions and Post-traumatic Stress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이은정(Lee, Eunjung) 유금란(Yu, Kumlan)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26권 제4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업과 관련하여 심리적으로 충격이나 상처가 되는 일시적 사건이나 지속적으로 반복되었던 경험’을 학업 외상(academic trauma) 이라 명명하고, 외상사건의 유형과 반응 및 극복방법을 합의적 질적 연구-수정본(CQR-M)으로 탐색하였다. 그리고 학업 외상여부에 따른 학업 정서, 학업 외상의 심각도와 극복정도에 따른 학업 정서 및 외상후스트레스 증상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온라인으로 모집된 228명의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8.7%(111명)가 학업 외상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보고하였고, 그 사건의 유형은 크게 학업에서의 ‘성취 실패’, ‘공부 강요’, ‘관계 폭력’으로 나누어졌다. 학업 외상에 대한 반응과 영향은 신체, 정서, 사고, 행동, 관계로 나누어 볼 수 있었고, 가장 많은 극복방법은 자신을 수용하는 것과 다시 노력하여 성공경험을 하는 것이었다. 또한 학업 외상을 경험한 집단은 비경험 집단에 비해 ‘불안’과 ‘분노’의 학업 정서를 의미있게 더 경험하고 있었고, 학업 외상 집단의 20.7%는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을, 11.7%는 복합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을 보였다. 학업 외상의 심각도보다 극복정도가 ‘불안’의 학업 정서와 복합외상후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더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담 장면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 psychological phenomenon, called academic trauma, which Korean students may experience during their schooling. Participants were 228 adults who completed an online questionnaire assessing traumatic experiences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emotions toward learning,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egree of overcoming traumatic experiences, and open-ended questions related to traumatic experien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48.7% of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academic trauma, primarily related to ‘failure of academic achievement’, ‘enforcement of study’, and ‘abusive relationships’. These experiences affected participants’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nd social functioning. Additionally, participants with academic trauma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anxiety and anger, as compared to those who had not experienced academic trauma. Among those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trauma, 20.7% reported post-traumatic stress and 11.7% reported symptoms of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목차
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귀국 청소년 선교사 자녀(Returned Mission Kid: MK)의 적응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에 근거한 한국판 5욕구 만족도 척도 타당화 연구
- ‘아리랑풀이 집단상담’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돌봄과 맞섬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여성의 첫출산후 우울 증상과 자기존중감 사이의 상호순환 효과 모형 검증
-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생산직 여성근로자의 불안 경험 탐색
- 한국 성인의 학업 외상 : 학업 정서 및 외상후스트레스 증상과의 관계
- 소아암 환아 형제자매에 대한 심리지원 : 문헌고찰을 통한 제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