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과에서 문제해결학습과 의사결정학습의 질적 차이: Dewey와 Engle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용수 905

영문명
The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Models in Social Studies: Focusing on Dewey’s and Engle’s Perspectives
발행기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저자명
이태성(Lee, Tae Seong)
간행물 정보
『사회과수업연구』제7권 제2호, 47~7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03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요약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사회과에서 실천되고 있는 문제해결학습과 의사결정학습 모형의 질적인 차이를 구분하는 데 있다. 사회과에서 문제해결학습과 의사결정학습은 Dewey의 교육 철학을 계승한 대표적인 수업 모형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두 모형의 본질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은 미진하다. 두 모형은 반성적 탐구라는 전통 속에서 개념, 교육 목표, 교수 방법에 있어서 유사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론적 차원에서 명확한 구분이 쉽지 않다. 결과적으로, 실제 사회과 수업의 실천에서 두 모형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며, 주로 각 모형을 표방하는 대표적인 학자들이 제안한 특정한 절차 혹은 단계로 구분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두 모형이 본격적으로 제기된 사회적 맥락 속에서 질적인 차이가 드러난다. 문제해결학습의 이론적 토대인 Dewey의 관점은 사회과 태동 시기의 ‘사회적 효율성’ 논의와 맞물려 있으며, 반성적 사고의 개념은 민주주의의 이상과 연결되고 있다. 의사결정학습을 촉발시킨 Engle의 생각은 20세기 중반 이후 부각된 ‘사회 비판주의’에 터하고 있으며, 방법론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의 가능성이 엿보인다. 이와 같은 사회적 토대를 바탕으로 할 때, 문제해결학습은 민주주의의 사회적 관계를 고려한 ‘문제의 다각적 이해’로, 의사결정학습은 사회 개선을 위한 ‘문제 제기’로서의 성격으로 새롭게 거듭날 수 있다. 본고에서 제안한 문제해결학습과 의사결정학습에 대한 새로운 성격이 수업의 차원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반성적 탐구의 방향성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좋은 길잡이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tinguish the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models in social studies. In social studies,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models are recognized as representative instruction models that inherit Dewey s philosophy of education. Since the two models have strong similarities in concepts, educational goals, and teaching methods in the tradition of reflective inquiry,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clearly on the theoretical level. As a result, they tend to be distinguished by specific procedures or steps suggested by representative scholars. Qualitative differences emerge in the social context of the two models. Dewey s perspectiv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problem-solving model, is in line with the discussion of ‘social efficiency’ in the early years of social studies, and the concept of reflective thinking is connected with the ideal of democracy. Engle s ideas, which sparked the decision-making model, are rooted in ‘social criticism’ that has emerged since the mid-twentieth century, and have revealed the methodological possibilities of post-modernism. Based on this social context, problem-solving learning can be characterized as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problems’ for democratic societies, and decision-making learning as ‘posing problems’ for social improvement. The new nature of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in this paper suggests that both models can be understood as the tradition of reflective inquiry, while it is expected to be a good guide for instructors and learners to clearly recognize the direction of reflective inquiry at the instructional level.

목차

Ⅰ. 서 론
Ⅱ. 사회과에서 두 모형의 유사성
Ⅲ. 문제해결학습과 의사결정학습의 맥락적 이해
Ⅳ. 문제해결학습과 의사결정학습의 본질에 대한 재해석
Ⅴ. 결론: 방법에서 성격으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성(Lee, Tae Seong). (2019).사회과에서 문제해결학습과 의사결정학습의 질적 차이: Dewey와 Engle의 관점을 중심으로. 사회과수업연구, 7 (2), 47-73

MLA

이태성(Lee, Tae Seong). "사회과에서 문제해결학습과 의사결정학습의 질적 차이: Dewey와 Engle의 관점을 중심으로." 사회과수업연구, 7.2(2019): 47-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