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국 지원고용 담당자의 지원고용 과정에 대한 직무실행도 및 직무곤란도

이용수 35

영문명
A national survey on job coaches implementation and implementation diffculties of the procedures of supported employment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박선희(Sun-Hee Park) 박승희(Seunghee Park)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19권 제2호, 5~3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선배치-후훈련 지원고용의 세부과정에 대해 전국의 지원고용 담당자가 인식한 직무실행도와 직무곤란도를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질문지를 통해 처음으로 조사한 연구이다. 응답자는 전국 62개 기관의 155명의 지원고용 담당자이다. 본 연구는 지원고용 과정에 대해, 선배치 과정에 (1)직무개발 및 직무분석 과정, (2)직업상담 및 직업평가 과정, (3)적합성 평가에 따른 배치 과정을; 후훈련 과정에 (4)현장직업훈련 과정, (5)사후지도 과정을 포함시켰다. 이 5가지 과정에 대한 155명 지원고용 담당자의 직무실행도와 직무곤란도 자료가 구해졌고, 직무실행도와 직무곤란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지원고용 담당자의 업무경력, 소지자격증, 연수 참여여부라는 3가지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실행도와 직무곤란도에서의 차이가 분석되었다. 지원고용 담당자의 직무실행도가 가장 낮은 과정은 직무개발 및 직무분석 과정이었으며, 직무곤란도가 가장 높은 과정은 현장직업훈련 과정이었다. 지원고용의 5가지 과정에서 직무실행도와 직무곤란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현장직업훈련 과정에서는 매우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담당자의 업무경력에 따른 지원고용 과정별 직무실행도와 직무곤란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소지자격증에 따른 지원고용 과정별 직무실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자격증 중복소지집단이 단일소지집단에 비해 비교적 높은 직무실행도를 보였다. 담당자의 연수 참여여부에 따른 지원고용 과정별 직무실행도와 직무곤란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증장애인의 지원고용의 질과 성과의 향상과 지원고용 담당자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쟁점들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ob coaches perceptions about the degree of their implementation and implementation difficulties of five procedures of supported employment. These proceduress include: (1) job development and analysis, (2) vocational assessment, (3) job matching, (4) on-site training, and (5) follow-up service. The respondents to the survey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ere 155 job coaches from nationwide 62 community disabilities-related agenci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s regard to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each of the five procedures, the procedure that job coaches rated the lowest was job development and analysis, as regard to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difficulties, the procedure that job coach rated the highest was on-site training. Overall, the degrees of implementation and implementation difficulties we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In general, job coaches who had dual certification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implementing the procedures of supported employment than those who had a single certific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erience of job coaches and in-service training were found.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future efforts to advance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training and other supporting systems for the staff development needs of the job coaches and to ultimately enhance the quality of supported employment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Korea.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희(Sun-Hee Park),박승희(Seunghee Park). (2009).전국 지원고용 담당자의 지원고용 과정에 대한 직무실행도 및 직무곤란도. 직업재활연구, 19 (2), 5-34

MLA

박선희(Sun-Hee Park),박승희(Seunghee Park). "전국 지원고용 담당자의 지원고용 과정에 대한 직무실행도 및 직무곤란도." 직업재활연구, 19.2(2009): 5-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