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J대학교 SUPER 핵심역량 자기인식 진단도구 개발

이용수 82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perception Diagnostic Tool for the SUPER Core Competency of J University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임명희(Im Myoung-Hee)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17권 제3호, 23~4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사회적으로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실질적인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핵심역량 문항 개발을 위해 J대학에서는 SUPER 핵심역량으로 정의하였다. SUPER 핵심역량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 육성,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창의적 실용인재 양성을 교육목표로 실천하는 봉사인, 학습하는 교양인, 도전하는 전문인을 인재상을 기반으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영성인성, 의사소통, 자기개발, 창의융합, +형협력으로 대학생 핵심역량을 추출하였다. 핵심역량의 문항 구성은 선행연구를 통해 135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하여 126개 예비문항을 개발 예비조사를 통하여 J대학교 학생 1,158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하였다. 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Rasch모형으로 적합한 77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77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70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핵심역량 진단도구는 5개 핵심역량에 15개 세부역량으로 구성되었다. 각 역량별 신뢰도와 타당도는 양호하였으며 신뢰도 계수는 .835~.900 수준이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적합도 검증 결과 모든 부합도 지수들에 적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 SUPER 핵심역량 자기인식 진단도구는 대학생들이 본인의 핵심역량 수준을 스스로 측정해 볼 수 있는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SUPER 핵심역량 자기인식 진단도구를 바탕으로 대학생 역량을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에 보충함으로써 졸업후 사회적 적응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develop a core competency diagnostic tool that can measure the practical competencies required by college students in society. For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es, J University defined them as the SUPER core competences. SUPER s core competences were based on the Human Resources Award, which is a service to practice fostering human resources and creative practical talent that creates social value as required by society, a learning educator, and a challenging professional. Based on this, core competence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extracted through spiritual christianity, universal communication, proactive challenge, exploratory creativity, and relational collaboration. The composition of the core competences was derived from 135 questions through prior research. In addition,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experts and 126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1,158 students from J University. Based on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e survey, 77 questions were selected suitable for the Rasch model. A final 70 questions were finalized after a positiv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77 selected questions. The core competency assessment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15 detailed capacities, each of which consisted of five core competences with three detail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capacity were good and the overal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good. The levels were between .835 and 0.900, and the conformity assessment results from a positive factor analysis were suitable for all conformity indices.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SUPER core competency self-recognition too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a tool that enables university students to measure their core competency levels on their own. Based on the self-recognition tool of SUPER core competency, it is expected to help students adapt to society after graduation by checking their competency and supplementing their deficiencies.

목차

Ⅰ. 서 론
Ⅱ. SUPER 핵심역량의 개념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명희(Im Myoung-Hee). (2019).J대학교 SUPER 핵심역량 자기인식 진단도구 개발. 교육종합연구, 17 (3), 23-42

MLA

임명희(Im Myoung-Hee). "J대학교 SUPER 핵심역량 자기인식 진단도구 개발." 교육종합연구, 17.3(2019): 23-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