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학습습관, 정서문제 및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구조관계

이용수 127

영문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Learning habits, Emotional problems, Pe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aptation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이난(Lee Nan)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17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습습관, 정서문제, 또래애착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중1 코호트의 3차 년도 2,203명의 학습습관, 정서문제, 또래애착 및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한 2차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습습관, 정서문제, 또래애착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습관은 또래애착 및 학교생활적응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정서문제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학습습관, 정서문제, 또래애착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은 경험적으로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습관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 정서문제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 그리고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효과도 -.128~.792의 표준화계수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취가치와 숙달목적지향성 및 학업시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나 정책 등이 마련되어 청소년에게 제공되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공격성이나 신체증상 및 우울증상을 경험하는 청소년 혼자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방관하기보다는 학교내의 상담실과 지역사회의 청소년 관련 센터에서는 적극적 및 치료적 개입과 절차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학교 안에서도 청소년들이 소수의 또래들과 시간과 경험을 보내면서 애착을 형성할 수 있도록 건강한 의사소통의 방법과 기술 및 또래와의 신뢰로운 관계형성 등을 의도적으로 개입과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research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habits, emotional problems, pe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aptation for adolescents. To do this, we used the secondary data that measured 2,203 students learning habits, emotional problems, pe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the 1 cohort in the Korean child and adolescent panel survey of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habits, emotional problems, peer attachment and adolesc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habits and pe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Seco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between learning habits, emotional problems,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was empirically consistent. The direct effects of learning habits on school life adaptation, the direct effects of emotional problems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direct effects of peer attachment on school life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suggests that measures and policies that can achieve achievement value, mastery orientation and academic time management should be provided to adolescents to improve their adaptability to school life. Second, it is suggested that ac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and procedures are needed in the counseling room in the school and the youth center in the community rather than letting the adolescents experiencing aggression, somatic symptoms and depressive symptoms solve their own problems. Finally, it is also necessary to intentionally intervene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healthy communication methods, skills and trusting relationships with peers so that young people can spend their time and experience with a small number of peers in school to form attach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난(Lee Nan). (2019).청소년의 학습습관, 정서문제 및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구조관계. 교육종합연구, 17 (3), 1-22

MLA

이난(Lee Nan). "청소년의 학습습관, 정서문제 및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구조관계." 교육종합연구, 17.3(2019):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