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산강유역권 사비기 석실의 변천과 의미

이용수 2382

영문명
A Study on the Transition and Meaning of Sabi Period Stone Chamber Tomb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Area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오동선(Oh Dongsun)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2집, 202~245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5~7세기 영산강유역권과 백제 중앙의 사비기 석실을 비교하여 변천과정을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분포특징과 의미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형식은 백제 왕릉급 석실의 변천에서 축조기술과 매장관념이 반영된 현실 단면과 평면 속성을 조합하여1 5개를 설정했다. 분석결과, 영산강유역권의 사비기 석실은 능산리 2기의 전반(6세기 3/4분기)부터 나타난다. 신안 도창리와 읍동 1호, 장흥 충열리 3호가 가장 빠르다. 능산리 2기의 후반(6세기 4/4분기)에는 복암리 3-5호,나주 반남, 함평 마산리, 함평 월계리, 장성 석계 고분에서 현실 단면 제형의 사비기 석실이 등장한다. 능산리 3기(7세기 1/4분기)에는 현실 단면이 방형이면서 연도는 기다란 형태가 성행한다. 구조상 동하총과 관련되며 복암리 일대에서 특히 유행하고 유물상의 위계도 가장 높다. 능산리 4기(7세기 2/4분기)에는 복암리를 비롯한 전 지역에 현실 단면 방형의 석실이 유행한다. 아울러 영산강유역권 사비기 석실의 구조를 분석하여 신안 도서와 장흥, 함평지역에는 백제 관료가 직접 파견되었고, 나주 복암리 지역에는 토착세력이 관료화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분포는 이전 시기와의 단절과 특정 지역으로의 편중 현상이 뚜렷하다. 그 배경으로 백제가 사비기에 이르러 정치·경제·군사 측면에서 교통로를 다변화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과정에서 새롭게 부상한곳이 장흥을 중심으로 한 탐진강유역이고, 신안 도서와 나주 복암리 지역은 거점의 역할이 더욱 부각된것으로 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the Sabi Period stone chamber tombs(5~7th centuries) of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and the Baekje center in order to reveal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these tombs, and to examin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15 tomb types were established by combining properties of the main burial chamber and elements reflecting construction technology and burial practic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abi Period stone chamber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begin to appear in the first half of Neungsan-ri Phase 2. The tombs of Shinan and Jangheung are the earliest constructed tombs. In the second half of Neungsan-ri Phase 2, tombs come to be constructed in Naju Bannam, Hampyeong, and Jangseong. During Neungsan-ri Phase 3, stone chamber tombs featuring square plan burial chambers with long passageways become popular. This tomb type is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the Dongha royal mausoleum, and was especially popular around Bokam-ri region and features artifacts belonging to the highest level. In the fourth quarter of the 7th century, stone chamber tombs featuring square plan burial chambers become popular in all regions. In addition, Baekje officials were dispatched directly to the Sinan Islands, and the areas of Jangheung and Hampyeong. It is also possible that indigenous elite became bureaucrats of the Baekje state in the region of Bokam-ri, Naju. The distribution of the demonstrates a clear break from that of the previous periods and a bias towards specific areas can be observed. It is proposed that Baekje may have diversified its transportation routes (in terms of politics, economy, military) in preparation as it reached its stage of invasion.

목차

Ⅰ. 머리말
Ⅱ. 형식분류
Ⅲ. 상대순서와 구조비교
Ⅳ. 변천과 분포특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동선(Oh Dongsun). (2019).영산강유역권 사비기 석실의 변천과 의미. 한국고고학보, 112 , 202-245

MLA

오동선(Oh Dongsun). "영산강유역권 사비기 석실의 변천과 의미." 한국고고학보, 112.(2019): 202-2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