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렵채집민의 광역교류네트워크와 한국 후기 구석기시대 점유밀도의 변동

이용수 1013

영문명
Hunter-Gatherer Mobility, Social Networks, and Fluctuations of Population Density in Korea during the Final Pleistocene to Early Holocen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성춘택(Seong Chuntaek)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2집, 8~49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방사성탄소연대를 바탕으로 한국 후기 구석기시대의 유적점유밀도, 곧 인구변동을 추정하고,이를 수렵채집사회의 광역교류네트워크의 측면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고고학의 맥락에서 방사성탄소연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평가하면 최후빙하극성기(LGM) 동안 유적점유가 꾸준히 증가했음을 알수 있다. 그러나 LGM 이후 자료는 별로 없으며, 플라이스토세 최말기에 소수 확인되다가 후빙기에 들어서며 다시 희소해진다. 춥고 건조했던 LGM에는 점유밀도가 높다가 기온상승기에 급감하며 후빙기지구온난화와 더불어 희소해지는 것이다. 이는 시베리아나 고위도 내륙에서 보이는 양상과는 상반되며, 단순히 지역 또는 권역 내 기온 상승과 하강만으로는 풀기 어려운 문제이다. 오히려 수렵채집사회가 가지고 있는 광역의 교류네트워크에서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수렵채집사회는 먼 거리에서 직간접 교류하면서 물품과 정보를 나누고 혼인 관계를 맺는다. 다양한 환경의 민족지 자료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수렵민의 규모와 이동성은 후기 구석기시대에 연원한 것이다. 후기 구석기시대 수렵민의 교류네트워크는 흑요석 같은 정질 암석의 분포로 추정할 수 있다. 한국의 많은 유적에서 확인되는 흑요석은 대부분 백두산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주변 산지에 대한 연구에서도 500km, 멀게는 800km까지 이동했다는 결과를 볼 때 후기 구석기 수렵민의 직·간접 교류네트워크는 상당한 규모였다. 강한 공간적 유대를 가진 권역의 인구는 주변, 그리고 광역의 인구변동과 연쇄이동에 영향을 받는다.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 남부 후기 구석기시대에서 후빙기에 이르는 동안 역동적인점유밀도의 등락을 이해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presents fluctuations of occupational density during the Late Paleolithic in the modern day southern Korean Peninsula based on distribution of evaluated radiocarbon dates. In so doing, it attempts to explain the pattern of population fluctuation in terms of regional and super-regional interaction networks of Late Glacial and postglacial hunter-gatherers. The study proposes evaluation processes of available radiocarbon dates which provides the basis on which we can discuss the occupational history during the final Pleistocene and early Holocene. The reconstructed occupational history shows significant fluctuations: a continued increase of occupation density during the LGM is followed by notable population drops during the post-LGM and post-Pleistocene periods. The pattern is not understandable without considering the flexibility and magnitude of hunter-gatherer mobility and far-reaching social networks. Mobile hunting and gathering groups described in the ethnographic record establish and maintain large scale interaction networks in order to secure and exchange information, resources and marriage partners, which was also the case with the Late Paleolithic hunter-gatherers. Scientific analyses suggest that most obsidian artifacts in Korea originated from the Mt. Baekdu area which is about 500km away from the middle Korean Peninsula. This strong spatial ties and social networks were likely the primary factor behind the significant increase and and sudden drop of regional populations in the modern day southern Korean Peninsula during the final Pleistocene and early Holocene.

목차

Ⅰ. 들어가기
Ⅱ. 플라이스토세 말-홀로세 초 기후와 환경변화
Ⅲ. 방사성탄소연대와 선사시대 점유밀도 추정
Ⅳ. 흑요석기와 수렵채집사회의 교류네트워크
Ⅴ. 후기 구석기시대 광역교류네트워크와 점유의 역동성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춘택(Seong Chuntaek). (2019).수렵채집민의 광역교류네트워크와 한국 후기 구석기시대 점유밀도의 변동. 한국고고학보, 112 , 8-49

MLA

성춘택(Seong Chuntaek). "수렵채집민의 광역교류네트워크와 한국 후기 구석기시대 점유밀도의 변동." 한국고고학보, 112.(2019): 8-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