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물관 교육 평가의 새로운 방향과 쟁점 연구: 박물관 교육의 ‘학습 결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59

영문명
New Directions and Issues In Museum Education Evaluation: With A Focus on the ‘Learning Outcomes’ of Museum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양지연(Ji-Yeon Yang)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7권 제2호, 27~4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박물관 교육 평가가 참여자 수와 같은 정량적 목표 위주로 평가되거나 참여자의 만족도 등 반응 평가에 머무는 것을 넘어 박물관 교육 고유의 성격과 효과를 탐구하는 평가로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방향을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영미권에서 박물관 교육 평가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는 ‘학습 결과’(learning outcome)의 개념적 틀을 살펴보고, 이러한 결과기반 평가의 한계와 발전적 지향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영국의 박물관도서관아카이브 위원회(MLA)가 주도하여 개발한‘포괄적 학습 결과’(GLO)와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에 의한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학습 결과는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측면에서 박물관 학습의 결과를 포괄적으로 설정하고, 박물관이 교육적 활동의 기획과 평가의 준거로 활용할 수 있는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 있다. 동시에 이러한 결과기반 평가는 사전에 의도된 결과에 초점을 둠으로써 박물관의 비형식 학습 효과를 온전히 평가하는데 제약이 있다는 인식에 따라 참여자기반 평가를 강화해야 한다는 논의가 대두되고 있다. 우리 박물관 교육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박물관의 학습 결과에 대한 연구를 본격화하고, 참여자의 관점을 도입한 학습 결과를 박물관 교육 기획 및 평가의 기반으로 삼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박물관이 공공지원에 대한 책무성을 강화하고 박물관의 공적 가치를 제고해 나가는데도 긴요한 과제일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new directions of evaluation for museum education in Korea. Currently, museum education evaluation practices are limited to measuring quantitative outputs such as the number of programs and participants.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museums educational offerings and the value of museums in society, evaluation of museum education needs to measure the ultimate outcomes or impacts of museum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 examination of conceptual framework of learning outcomes developed by museum and informal learning research community in England and U.S., the unique nature of museum learning and the categories of learning outcomes for museums were discussed. Also, the possibilities of participant based evaluation were examin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utcome based evaluation.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Korean museum education to facilitate new evaluation philosophy and practices were examined and presented. It is expected that theoretical study of learning outcomes of museum education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would contribute to the innovation of museum education in Korea and public value of museum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 : ‘산출’(output) 평가에서 ‘결과’(outcome) 평가로
Ⅲ. 박물관 교육과 ‘학습 결과’(learning outcomes)
Ⅳ. ‘결과’ 기반 평가의 한계와 대안
Ⅴ. 나가며: 박물관교육 평가의 혁신을 위한 시사점과 제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지연(Ji-Yeon Yang). (2012).박물관 교육 평가의 새로운 방향과 쟁점 연구: 박물관 교육의 ‘학습 결과’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7 (2), 27-46

MLA

양지연(Ji-Yeon Yang). "박물관 교육 평가의 새로운 방향과 쟁점 연구: 박물관 교육의 ‘학습 결과’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7.2(2012): 27-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