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열, 능력주의 그리고 교육 공정성 담론의 재고(再考): 드라마 의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3227

영문명
Reconsideration of Educational Fever, Meritocracy, and Educational Fairness: focusing on the discourse analysis of drama “SKY castle”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남미자(Nam Mi-Ja) 배정현(Bae Jung-Hyun) 오수경(Oh Su-Kyung)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9권 제2호, 131~16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된 드라마 을 통해서 교육열, 능력주의 그리고 교육 공정성 담론을 분석하였다. 에서 드러난 교육열 양상은 ‘자기 욕망 실현을 위한 교육열’, ‘공고한 로열패밀리 형성을 위한 교육열’, ‘캐슬’로 표상된 욕망을 비추는 거울로서 교육열‘의 세 가지로 나타났다. 여기서 드러난 교육열 담론은 ‘개인의 성공과 훌륭한 가문은 분리될 수 없는 것’, ‘자녀 교육은 여성(어머니)의 몫’, ‘어떤 것도 감수하게 하는 대학입시’, ‘공정하지 않은 대학입시전형’으로 압축되며, 담론에 내재된 이데올로기는 1) 신자유주의와 능력주의(meritocracy), 2) 시험만능주의(testocracy)와 공정성 이데올로기 3) 가족주의와 모성이데올로기로 나타났다. 은 공공성의 부재 속에서 구축된 능력주의 사회에서 그 수혜자가 소수의 특정한 사회계층이 됨에도 불구하고 능력주의를 절대화함으로써 시험의 절차적 공정성에만 매달리고 있는 우리 사회 현실을 재현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 사회는 학력/학벌주의가 능력주의와 결합하면서, 교육의 결과(성적 등)가 철저하게 개인화 되었고 불평등과 차별은 공정의 결과로 여겨왔다. 이제는 교육이 능력주의 이데올로기를 공고하게 하는 역할을 해 왔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교육을 사회 계층의 이동 혹은 사회 불평등 해소의 수단으로 삼기 보다는 교육의 본래적 의미와 목적을 되물을 필요가 있다. 더불어, 지엽적으로 다루어지기는 했으나 부모세대로부터 완전히 포섭되지 않은 자녀들의 탈주 시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들이 지배 이데올로기에 문제제기를 하고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교육의 몫이다. 즉 교육은 그들이 낸 가능성의 틈을 발견하고 확장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educational fever, meritocracy and educational fairness through the drama “SKY Castle”. The educational aspects shown in was threefold: the educational fever to fulfill one s desire, the educational fever to establish the firm royal family and the educational fever as a mirror to reflect the desire represented by “castle.” The discourse of the educational fever is that the success of the individual and the great family cannot be separated, the responsibility of chirdren’s education belongs to the female (mother), the success in college entrance exam that make the parents willing to accept anything, the college entrance exam that is not fair. The ideology inherent in such discourse was shown as 1) neoliberalism and meritocracy; 2) testocracy and the ideology of fairness: 3) familism and the ideology of motherhood. has represented the social reality of Korean society, in which the meritocratic society built in the absence of publicness place a priority on the procedural fairness of the test based on absolutizing the meritocracy, even though a small number of specific social classes is the main beneficiaries. So far, the individuals are responsible for the results of education (such as grades) with the academic sectarianism/credentialism combined with the meritocracy, and the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have been regarded as the result of fairness.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at education has played a role in solidifying the meritocratic ideology and reconsider the original meaning and purpose of education, rather than using the educaion as a means to shift the social class or to resolve social inequalities. In addition, it is worth noting that children who have not been fully recruited by their parents generation are trying to escape. It is up to education to help them grow into a subject that poses problems to the ruling ideology and creates a new order.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should play a role in discovering and expanding the gaps as their possi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에서 드러난 교육열 양상
Ⅴ. 이 재현하는 담론과 이데올로기
Ⅵ. 논의
Ⅶ.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미자(Nam Mi-Ja),배정현(Bae Jung-Hyun),오수경(Oh Su-Kyung). (2019).교육열, 능력주의 그리고 교육 공정성 담론의 재고(再考): 드라마 의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9 (2), 131-167

MLA

남미자(Nam Mi-Ja),배정현(Bae Jung-Hyun),오수경(Oh Su-Kyung). "교육열, 능력주의 그리고 교육 공정성 담론의 재고(再考): 드라마 의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9.2(2019): 131-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