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동기의 사회적 형성: 복지국가의 제도적 맥락과 학습동기 형성의 관계

이용수 232

영문명
Social Construction of Learning Motiv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Context and Formation of Learning Motivation in a Welfare State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김경년(Kyung-Nyun Kim)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9권 제2호,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습에 대한 가치와 선호인 학습동기는 그 사회에서 학습의 가치, 보상 등에 의하여 조건 지어 질 수 있다. 복지국가의 제도적 맥락이 사회적 사실이 되어 구성원에게 경험되면 국가의 정책적 지원은 물질성을 획득하여 각자에게 내재화될 것이다. 복지국가의 객관화된 거시적 의미 세계는 교육을 매개로 학생 개개인에게 그것이 실재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신제도주의 맥락에서 복지국가의 제도가 수학교과의 학습동기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ISA 2012년의 OECD 회원국 34개국의 자료를 활용하여 GDP의 사회보장비 비율을 통해 조작적으로 정의한 복지국가의 제도가 수학 학습의 내적 및 외적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국가단위에서 복지국가는 내적동기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복지국가의 제도적 맥락이 사회 전반에 배태되어 있어 사회구조적인 맥락에서 구성원에게 내재화・사회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경우에 내적동기의 감소가 일종의 overshooting 현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개인수준에서 복지국가는 내적동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복지국가의 제도적 보장을 통한 외적 보상은 개인의 효능과 자율과 같은 심리적 욕구를 낮춤으로써 행위주체성에 역유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외적동기 역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복지국가를 통한 국가의 물질적 지원이 장래 일, 경력, 직업획득을 위한 학습의 도구적 목적을 대신 채워주기 때문에 외적동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문 초록

Learning value and preference, i.e., learning motivation can be conditioned by the value of learning, compensation, etc. integrated into society. If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the welfare state becomes a social fact and is experienced by its members, the state s policy support will acquire materiality and become internalized to each people. Along with the context of this new institution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stitution of welfare state on motivation of mathematics learning.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welfare state system, manipulated by the ratio of social security ratio of GDP, on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of mathematics learning by using the data of 34 OECD member countries of PISA 2012. The results show that welfare states significantly reduce intrinsic motivation at national level. This implies that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the welfare state is embodied in the society as a whole and is internalized and socialized to the members in the social structural context. In particula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decrease in intrinsic motivation in Korea demonstrates a kind of overshooting. In the individual unit, the welfare state decreased intrinsic motivation. The external rewards through institutional guarantee of the welfare state acted as an disincentive to the agency by lowering psychological needs such as competence and autonomy. In addition, extrinsic motivation was also decreas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duction of extrinsic motivation because the material support of the state through the welfare state replaces the instrumental purpose of learning for future work or career and occupation.

목차

Ⅰ. 서론
Ⅱ. 문헌분석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년(Kyung-Nyun Kim). (2019).학습동기의 사회적 형성: 복지국가의 제도적 맥락과 학습동기 형성의 관계. 교육사회학연구, 29 (2), 1-31

MLA

김경년(Kyung-Nyun Kim). "학습동기의 사회적 형성: 복지국가의 제도적 맥락과 학습동기 형성의 관계." 교육사회학연구, 29.2(2019):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